한일,우성인수 막판 초읽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8면

반년이상을 끌어온 한일그룹의 우성건설그룹 인수작업이 최종타결을 앞두고 초읽기단계에 접어들었다.30일 오후로 예정된 57개채권금융기관 대표자회의가 그동안 실무선에서 벌여온 절충 결과를받아들일 경우 연내에 한일그룹의 인수작업은 마 무리될 전망이다. 이달들어 28일까지 세차례 열린 채권단 운영위원회를 통해 드러난 우성 인수작업의 초점은 크게 두가지.우성의 자산을 초과하는 부채규모를 얼마로 정하고,이 부채에 대해 금리를 어떻게 적용해 보상해주느냐는 것이었다.
한달전만 해도 2조원안팎의 격차가 있었던 우성의 부족자산 규모는 이달들어 한일과 채권단측이 한발씩 양보하면서 좁혀지기 시작,28일현재 2천억원선까지 좁혀졌다.채권단측은 우성의 부족자산 규모를 6천8백46억원(영업권 30%포함)으로 ,한일측은 8천7백81억원으로 각각 제시하고 있다.
한편 부족자산에 대한 금융조건면에서는 한일측이 처음 7년간은연 3.5%,다음 7년은 8.5%,마지막 7년은 13.5%로 3단계로 나눠 적용해줄 것을 요청한 반면 은행측은 적용금리는 같이하되 기간을 5년씩으로 줄일 것을 주장,결국 6년씩 3단계로 나눠 차등 적용하는 것으로 절충했다.
반년넘게 끌어온 양측의 인수협상이 이달들어 갑자기 진전을 보인 이유는 해를 넘기는 것이 한일그룹이나 채권단 양쪽에 모두 이득이 되지 않는다는 판단 때문이다.특히 제일은행측은 28일 운영위원회에서 이번 절충안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 우 우성그룹문제를 원점으로 돌리겠다는 엄포성 최후통첩까지 한 것으로 알려졌다.당사자들은 물론 재경원.은행감독원에 정치권까지 나서 우성인수문제에.훈수'를 두어온 점도 한몫 했다.그러나 부족자산을 확정하는 과정이나 연 3.5%의 파격 적인 금리등은 과거 80년대 종잣돈(시드머니)이나 다름없다는 점에서 특혜시비가 가시지않을 전망이다.

<손병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