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단계 판매 피해 농촌지역 확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2면

경북경산시와촌면소월리 權모(55.여)씨는 지난 2일 이웃 金모(56.여.다단계 모집인)씨의 권유로 다단계 판매회사인 대구시중구동인동 H기업 사무실에서 1주일동안 판매교육을 받은 뒤 1백20만원어치의 물품을 받았다.
회사는 權씨에게 주방기구와 건강식품을 팔고 다른 한사람을 소개하면 50만원씩 돌려준다고 약속했지만 權씨는 물건도 팔지 못하고 다른 사람을 소개하지도 못해 1백20만원어치의 물건을 고스란히 떠안게 됐다.權씨 외에 같은 마을사람 4명 도 H기업의물품을 구입했으나 사정은 모두 마찬가지.이들은 뒤늦게 속은 것을 알고 金씨에게 항의했으나 되레“능력이 없어 물건을 팔지 못하거나 사람을 소개하지 못했다”고 면박만 당했다.
농한기를 맞아 농촌과 중소도시 지역을 파고 드는 다단계 판매조직에 피해를 보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다단계 판매회사들은 금전적 피해를 주는 것은 물론 이웃.친지간 갈등을 야기하는등 풍속도 해치고 있다.
춘천에 사는 趙모(51.여)씨는 지난달말 고모의 소개로 B사에서 신발창.벨트등 자석용품 1백만원어치를 구입했다.
이 회사는 당초 1백만원어치를 팔면 판매금의 3%,2백60만원어치 이상인 경우 5%를 이익금으로 주며 판매원을 늘릴 경우아랫단계 사람의 판매실적을 본인 실적으로 인정해 주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60만원어치를 판매한 趙씨가 회사측에서 받은 이익금은 세금을 떼고 단돈 1천1백20원에 불과했으며 趙씨를 소개한 고모가 받은 이익금도 3천4백원 뿐이었다.
판매교육과 물건구입을 위해 두세차례 서울에 다녀온 교통비,물건 사라며 아는 사람들에게 걸었던 전화비등 쓴 돈을 되찾기는 커녕 팔지 못한 물건도 반품이 쉽지 않아 趙씨는 속앓이를 하고있다. 한국소비자연맹 대구.경북지부엔 올들어 이같은 다단계 판매 피해 사례가 40여건이나 접수돼 있다.
[전국종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