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덕의 13억 경제학]'중국 이우(義烏)에서 온 편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13억 경제학' 블로그가 2009년 중국경제를 전망합니다. 다음 주 목요일 저녁, 세 번째 오프라인 모임을 갖기로 했습니다.

주제 : 1. "2009년 중국경제 어디로 가나?"
2. 한-중 조선업 비교로 본 국내 제조업의 생존 방정식
발표 : 1. 표민찬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2. 조용찬 한화증권 중국팀장
일시 : 2008년 11월 13일(목요일) 저녁 6시 30분
장소 : 다음 주 화요일 신청자에게 이메일로 개별 통보
신청 : 이메일(woodyhan@naver.com)로 접수
(이름, 하는 일, 신청동기 등을 적어 보내시면 됩니다)
회비 : 10,000원(저녁 식사비)

표민찬 수석연구원은 대만과 미국에서 석박사를 하고, 매일경제신문과 연합뉴스 기자를 거쳐 SERI에 합류한 이론과 실제를 겸비한 중국전문가입니다. 삼성그룹 기업들에게 중국비즈니스의 길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번 모임에서는 내년 중국경제 성장 전망, 투자 및 소비동향, 대응책 등에 대한 고급정보가 제시될 것입니다.

모두 환영입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기다리겠습니다. 장소 예약에 필요하오니 꼭 사전 신청을 해주십시요.

***************

모임 공고를 본 이우의 한 독자께서 이메일을 보내왔습니다. 그는 오프라인 첫 모임에 참석한 '13경제학'의 동지(同志)입니다. 중국 현장의 상황을 스케치한 그의 서신을 소개합니다. 저의 답신이 이어집니다.

***************

중국 이우에 있는 지태선 입니다.

이번 모임 참석은 힘들것 같습니다. 어려운 때,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슬기로운 방법을 찾는 기회가 되기를 먼 곳에서 지켜보겠습니다.

아시다 시피 이우시장은 중국의 도매시장으로 널리 알려져있지요. 지난 10월 박람회가 열렸습니다만, 너무 초라한 박람회로 끝났습니다. 그만큼 세계경제가 말이 아니라는 것이겠지요.

이곳에서는 달러화의 기축통화 불안을 놓고 많이들 이야기가 오가고 있고, 현재의 시장은 저급의 대량판매에서 품질위주의 소량판매가 대세를 이룰것 같습니다.

세계가 이미 중국의 물건에 넘쳐나는 이상, 더이상 이우물건을 원하지는 않는것 같습니다. 이곳에 오는 외국손님들도 중동이나, 아프리카 사람들이 많이 보이고 있습니다. 무역대리상이 아니고, 각 나라에서 바이어가 직접들어 온다는 이야기니까 수량도 적어질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많은 공인들을 데리고 있던 공장은 인건비 상승과 오더가 충분치 않아서 공인들을 놀리는 일로 이중고를 앓고 있습니다.

미국이나 유럽으로 수출입을 하는 한국상인들은 큰 어려움이 없지만 한국을 상대로 수출을 하시는 분들은 환률이 200대를 오르내리는 상황에서 버티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약 50% 정도가 짐을 싸고 돌아갔습니다. 아울러 한국회사에서 일하던 조선족들도 많이 실업자로 나와있는 요즘 상황입니다.

들려오는 소식에 의하면 한국도 많이 힘들어 하는것 같은데, 개인적으로는 지난번 한국에 들어갔을때 중국펀드를 손해를 보고도 다 처분한것이 다행이라는 생각입니다.

당분간 현금 그것도 중국위엔화를 쥐고있는게 도움이 될것 같다는 개인적 생각입니다.

건강하시고 좋은 글, 악플에 개념치 마시고 많이 부탁드립니다.

중국이우에서 지태선 올림

******************

지태선씨,

고생이 많습니다. 첫 모임에 참석한 후 아직 못봤군요.
다음 모임에는 꼭 뵐 수 있기를 바랍니다.

세계 최대의 소상품시장이라는 이우가 어렵군요. 그곳 한인들도 힘들겠습니다. 안타까운 일입니다.

저 역시 이우를 여러 차례 다녀왔었습니다. 상하이에 있을 때 무료하면 친구들을 데리고 갔었지요.

당시 이우는 '언덕에 앉아 리어카를 밀어만 줘도 먹고 사는 데 아무런 지장이 없다'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활황이었습니다. 한인상회를 중심으로 교민들이 똘똘 뭉쳐있는 것도 인상적이었구요. 아이들 교육에 특히 열성적이었던 김광윤 사장 만나면 안부 전해주세요.

그렇게 북적이던 이우도 세계 경제위기를 피할 수 없게 됐습니다. 아니 요즘 같은 시기 이우는 그 어느 곳보다 더 큰 타격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이우가 수출 위주의 도시기 때문이겠지요. '이우 소상품시장이 문을 닫으면 미국 크리스마크 트리의 70%가 사라질 것'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는 바꿔보면 이우의 수출의존도가 그만큼 높다는 것을 말해주겠지요.

지 선생,

끝나지 않는 위기는 없는 법입니다. 혹한의 시기가 지나면 봄은 오기 마련입니다. 지금이야 어차피 견디는 게임아니겠습니까? 견디어야 합니다. 분명 탈출구는 있을 겁니다. 이우에서 나가는 상품이 워낙 종류가 많아 딱이 뭐라고 말을 하기 어렵지만, 그래도 생활에 꼭 필요한 상품이 많겠지요. 죽으라는 법은 없을 겁니다.

꾸준히 수요가 일어나는 품목을 찾고, 바이어 라인을 더 끈끈하게 졸라메고, 좀 더 비정하게 가격협상 하시고...

지 선생은 해 낼 수 있을 거라 믿습니다. 위기가 끝나면 더 강해질 지 선생을 기대합니다.

다음 서신에서는 밝은 내용만 있기를 기대하며,
글 줄입니다.

한우덕
Woody Han

▶한우덕의 13억 경제학 블로그 바로가기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