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 백신 안전성 믿는 당신은 짱구”

중앙일보

입력

백신 예방접종을 하다가 사망하는 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나 피해보상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작용 피해는 영유아에 집중돼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질병관리본부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한나라당 손숙미 의원에게 제출한 2004년~2008년9월 현재 예방접종 이상반응 신고자료에 따르면 총 신고건수는 1833건으로 연평균 366건이 발생했다.

부작용별로는 농양과 같은 ‘심한 국소이상반응’이나 급성마비와 같은 ‘중추신경계 이상반응’이 1800건으로 가장 많았고 예방접종으로 인한 사망도 29건이나 발생했다.

백신종류별로는 영유아들에게 주로 접종되는 BCG(결핵백신)가 1073건으로 가장 많았고, 독감백신인 Flu(인플루엔자백신)이 182건,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DTaP/Polio) 백신이 149건 순이었다.

그러나 최근 5년간 신고된 총 1833건 가운데 실제 피해보상 신청건수는 81건에 그쳤다.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지침에 따르면 피해보상 신청은 진료비 중 본인부담금 30만원 이상인 자만 신청하도록 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연령별 피해보상 신청 현황을 보면 1세 미만의 유아는 28건, 1세 이상 7세미만의 영·유아는 33건이 보고되어 75.3%가 영유아에게 집중되어 있었다.

또 2004년 이후 예방접종 이상반응이 나타난 48명에 총 8억9703만원이 보상되었으며, 그 중 사망자 3명에게 보상된 금액은 4억8295만원으로 약 54%를 차지했다.

백신별 피해보상은 DTaP(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 백신)이 21건(6억8358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인플루엔자백신이 14건(1억7547만원), 일본뇌염 7건(3062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한나라당 손숙미 의원은 “최근 신고체계가 강화된 것은 바람직하지만, 아직 국내는 부작용 신고 건수가 외국의 4분의 1정도에 불과하다”며 “백신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국민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선진국 수준의 보상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헬스코리아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