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일기>'수돗물民生' 관심쏟는 美하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미국의 수돗물은 대체로 수질이 좋은 편이다.공해가 적은 나라라 원수(源水)가 좋고 상수관시설도 잘돼 있기 때문이다.
특히 뉴욕은 서울을 능가하는 대도시지만 수돗물이 좋기로 정평나 있다.세면대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마음놓고 마셔도 될 정도다. 이런 미국에서 더좋은 수돗물 공급을 위한 갖가지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최근 하원에서 민주.공화당이 합동으로 추진중인 「수돗물오염 통지서 발부제도」가 한 예다.
전국 각지역의 수도회사로 하여금 수돗물에 함유된 오염물질,그것의 허용기준치 초과여부,초과때 건강에 미치는 영향등을 고객에게 조목조목 알리도록 하는 제도다.
양당은 1년에 한번 통지서를 보내되 반드시 쉬운 용어를 사용해야 하며 안내전화번호도 명기토록 하는 내용의 음용수안전법 개정안을 마련했다.
이 법안에 대해 행정부와 환경단체가 적극 지지하고 있고 수도회사들도 수긍하는 분위기다.
이 법안에는 별다른 지침이나 처벌조항이 없다.시민들에게 수돗물에 대한 「정확한 정보」만 제공하면 그 다음은 여론과 시장(市場)이 알아서 처리할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사실 고객들이 각 수도회사의 물을 쉽게 비교할 수 있는 것만큼 수도회사들에 무서운 것은 없을 것이다.
하원은 양당이 모처럼 의기투합해 마련중인 이 법안을 혹시 상원에서 부결시키지 않을까 우려해 여론몰이에도 신경쓰고 있다.
이 제도가 실시되면 수도회사들의 비용부담이 늘어나고 시민들에게 오히려 혼란을 줄지도 모른다는 목소리가 상원 일각에서 흘러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아무튼 미국 의회가 이처럼 민생문제에 잔뜩 신경쓰고 있다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정작 민생문제에 전념해야 할 우리국회는 원구성조차 못하고 수돗물을 선택하기는커녕 그안에 어떤 오염물질이들어있는지조차 모르는 우리나라 국민이 참 안됐다 는 생각이 든다.
김동균 뉴욕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