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인권과 무역 상관관계 희박-OECD 보고서 지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노동인권의 신장이 자유무역을 활성화시킨다는 논리는 근거가 희박하다는 주장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의해 제기됐다.
OECD는 한 나라의 경제성장이나 무역증진이 해당국의 근로조건과 별 상관이 없으며 특정국의 근로조건을 향상시키겠다고 무역제재 수단을 쓰는 일 역시 실효성이 적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최근 펴냈다.
이러한 견해는 21~22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OECD각료회의에서 미국과 프랑스가 오는 12월 세계무역기구(WTO)총회에 이른바 「무역-노동 연계」문제를 올리자는 주장을 편 가운데제기된 것이어서 특히 주목된다.
이 보고서는 일부 선진국들이 문제삼고 있는 개도국의 열악한 노동조건을▶노동결사(結社)의 자유 ▶어린이노동 착취의 근절▶강제노역금지▶고용차별 철폐 등 네가지 항목으로 나눠 이들 요소의진전정도와 경제.무역 성과의 관계를 나라별로 실 증분석했다.
우선 경제성장면에서 노동결사의 자유는 1인당 국내총생산(GDP)과 경미한 관계가 있을 뿐 실질임금과는 전혀 무관하게 나타났다.오히려 싱가포르.말레이시아.쿠웨이트 등 결사의 자유가 제대로 보장되지 않은 나라들 가운데 실질임금이 생산 성보다 더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경우도 많았다.
수출실적도 노동권 확보 여부와 무관했으며 중국.네팔.터키 등에서 횡행하는 어린이노동이 그렇지 않은 벨기에.덴마크보다 수출경쟁력면에서 비교우위를 준다는 증거도 잡히지 않았다.이런 경우비교우위는 오히려 「규모의 경제」에서 비롯됐다.
홍승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