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선자 1인당 평균 6,033만원-총선비용 축소신고 의혹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15대 총선의 당선자들이 이번 선거에서 사용한 것으로 신고한선거비용은 본사 자체집계 결과 평균 6천33만원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같은 선거비용 신고액은 법정선거비용 한도액인 평균 8천1백만원을 훨씬 밑도는데다 검찰수사등을 통해 적지않은 지역에서 금품이 살포된 것으로 드러난 이번 선거의 현장 체감지수와도동떨어져 불성실신고의 의혹이 강력히 제기되고 있다.
〈관계기사 2,3면〉 특히 13일부터 각 입후보자의 신고내용이 일반에 공개열람되고 선관위가 국세청과 합동으로 현장실사(實査)에 나설 예정이어서 선거비용신고액을 둘러싼 후보.정당간의 공방이 뜨거운 정치쟁점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11일 본사가 총선 입후보자들과 각 시.군.구선관위로부터 선거비용 신고액을 집계한 결과 당선자 2백45명의 평균신고액은 6천33만8천여원으로 밝혀졌다.
최고신고액은 속초-고성-인제-양양의 신한국당 송훈석(宋勳錫)당선자의 1억2천5백여만원(법정상한 1억3천만원)이었다.
경기 김포의 박종우(朴宗雨.신한국당)당선자는 2천6백여만원(법정상한 5천3백만원)으로 최저비용을 신고했고 자민련부총재인 박철언(朴哲彦.대구수성갑)당선자도 3천5백여만원을 선거비용으로기재해 눈길을 끌었다.
정당별 평균 신고액은 당의 지원을 받지못한 무소속이 6천4백여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자민련 6천2백여만원,신한국당 6천30여만원,국민회의 5천9백여만원,민주당 5천6백여만원순이었다.
특히 이번 총선에서 신한국당이 각 지구당에 평균 1억원안팎을,자민련.국민회의등 야권도 지구당별로 최고 8천여만원까지의 지원이 이뤄졌던 사실에 비춰 선관위의 철저한 향후조사가 이뤄져야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한편 국민회의 정동영(鄭東泳)대변인과 민주당 김홍신(金洪信)대변인은 11일 『신한국당의 중앙당 지원 1억원에 각 후보가 쓴 비용을 합치면 법정한도를 넘는 원천적 금권선거』라며 『선관위가 여당후보 지출내용의 위법사실을 철저히 밝혀달 라』고 촉구하고 나섰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