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大 직업기관 분류에 발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전국 18개 개방대(산업대)총장.교수.학생들이 제2차 교육개혁안의 「신 직업교육체제 구축」방안에 맹렬히 반발하고 있다.서울산업대생 5백여명이 25일 명동성당에서 철야농성하는등 국립 개방대 학생들은 연일 수업을 거부하며 학내 시위를 벌이고 있다. 총장.교수들도 교육부와 각 정당에 항의서한을 보내고 사퇴 각오를 다지는등 격앙돼 있기는 마찬가지다.
개방대 소요는 제2차 교육개혁안이▶개방대를 직업교육기관으로 분류한데다▶국공립(9개)개방대 특별전형에 수능시험을 신입생 선발자료로 사용하지 못하게 한데서 촉발됐다.
개방대 교수.학생들은 개방대가 일반 4년제 대학과 같은 형태로 운영되고 있고,사실상 모든 대학교육이 다 직업교육인데 굳이개방대만 「하위 교육기관」으로 못박는 이유가 뭐냐는 입장이다.
또 입시에 수능을 반영하지 않을 경우 우수 신입 생 확보가 어렵고,졸업생들의 취업에도 심각한 타격이 온다고 반발한다.
사실상 개방대 설치는 80년대초 대학졸업정원제 중도탈락생과 누적된 재수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이었다.또 설치운영규정(대통령령)에 일반 대학보다 교수정원.교육시설 기준을 낮게 책정하고 행정.재정적 지원을 소홀히 함으로써 말로는 산업인력 양성기관,내면적으로는 「대입전선 탈락자에게 적당히 진학욕구를 채워주는 곳」처럼 인식되기에 이르렀다.
물론 교육부나 교육개혁위원회의 인식은 다르다.
교육체제가 「학문」중심과 「직업교육」중심으로 이원화되는 이상개방대가 직업교육의 정점에 자리할 수밖에 없으며,개방대가 전문대나 신대학과 적극 연계해 실업고 출신및 취업자들을 적극 받아들여 교육시켜야만 직업교육체제가 성공할 수 있다 는 것이다.교육계 관계자들은▶현실을 인정해 일반대학과의 차별을 없애주거나▶설립 취지대로 밀고나가되 명실상부한 「특화된 고급 산업인력 양성기관」이 될 수 있도록 과감한 행정.재정적 투자를 보장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동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