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代당선자의식조사>上.4년간 활동계획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신인 당선자들이 국회에 들어가 가장 먼저 만들거나 고치고 싶은 법은 현행 통합선거법과 복지관련 법안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선거법 개정 주장은 선거를 치르면서 많은 문제점을 피부로 느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응답자의 16.5%가 선 거법을 고치겠다고 해 선거과정에서 응어리진 심사를 표출했다.선거법 외에관심이 많은 분야는 복지관련법.국민들의 경제적 욕구가 성장에서안정,안정에서 복지로 바뀌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같다.
특히 노인복지진흥법(8.8%)과 사회복지관계법(8.8%),통합의료보험법(7.7%)을 개정하겠다는 당선자가 많았다.
권철현(權哲賢.부산사상갑)씨등 10여명의 신한국당 신인들은 노인복지법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노인에게 실제적 혜택이 돌아갈 수 있는 법을 만들겠다』는 각오였다.김민석(金民錫.서울영등포을)당선자 등 국민회의 신인들은 사회복지관계법 전반에 대한 손질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복지다음으로 관심이 많은 분야는 환경문제였다.이것도 「인간다운 삶」을 지향하는 사회흐름과 맥을 같이 하는 분야다.조웅규(曺雄奎.신한국.전국구)당선자 등 5.5%는 환경보전법의 획기적개선의사를 밝혔다.환경오염사범에 대한 가중처벌, 공해배출기준 강화 등이 이들의 목표다.재야출신인 이재오(李在五.신한국.서울은평을)당선자 등 전체 신인의 6.6%가 그린벨트 보호를 보다엄격히 하는 한편 일부 생활 녹지공간의 활용에 보다 신축적으로대처하는 그린벨트 관련법의 제.개 정을 다짐했다.
신인들이 희망하는 상임위원회는 가장 많은 게 건설교통위(32.7%),내무위(23.8%),보건복지위(18.8%),농림수산위(16.8%),재정경제위(15.8%)등 실물경제와 관계된 상임위가 대체로 인기가 높았다.건교위 지망이 가장 많 은 것은 지역사업을 의식한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김원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