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인구 크게 줄어-작년말기준 1년새 16만명 이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전직 대통령 비자금 사건등으로 침체가 이어졌던 지난 한햇동안주식투자 인구가 크게 줄었으나 개인당 보유규모는 오히려 늘어난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가하락이 투자경험이 적은 소액투자자들을 실망시켜 주식에서 손떼게 했지만 거액투자자들에겐 별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는이야기가 가능하다.
증권거래소가 15일 발표한 「95년말 현재 주식투자인구」는 개인투자자들의 증시이탈이 두드러졌음을 보여주고 있다.지난 한햇동안 주식인구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살펴본다.
◇주식 투자자 수가 줄었다=지난해말 현재 국민주를 포함해 주식을 10주이상 갖고 있는 사람은 전체인구의 3.5%에 해당하는 1백54만8천명으로 전년(1백70만7천명,3.8%)에 비해15만9천명이 줄었다.이같은 수치는 총인구 대비 주식투자인구 비중이 20%가 넘는 미국과 일본에 비해 턱없이 낮은 수준이다. ◇기관투자가들의 영향력 커졌다=기관투자가들이 전체 주식에서차지하는 몫이 32%에 달해 전년(31.3%)에 비해 0.7%포인트 높아졌다.대신 개인투자자는 36.9%에서 36.4%로,일반법인은 14.1%에서 13.4%로 보유비중이 각각 낮아졌다.지난해 7월 2차 외국인 주식투자한도 확대가 이루어진 결과 외국인 투자자들의 보유비중은 사상처음으로 10%를 넘어섰다.
◇투자자 평균 연령은 42세=주식투자자 평균 연령은 42세로93년의 43세보다 한살 낮아졌고 94년과는 똑같았다.연령별로는 30대가 전체 주식인구의 33.6%로 가장 높았지만 주식보유비중은 16.7%에 불과했다.
송상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