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어포인트>고흥군 전암지-2주연속 최대어 화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45면

점암지(전남고흥군점암면연봉리)가 2주연속 「최대어 산출낚시터」의 영예를 차지하면서 낚시인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이에 따라 남부지방의 저수지로 출조하는 낚시인들의 수도 늘고 있다.지난달 중순까지만 해도 충북 조치원의 오송지,충남 태안군의 이곡지,서산군 대호만의 대산제1수로 등 충청권의 저수지가 최대어 산출낚시터로 선정됐었다.
이에 대해 전국낚시연합회의 조상직부회장은 『최근들어 대호만의조황이 부진한데다 씨알마저 작아지자 출조 동호인들이 남부지방으로 발길을 돌린 것』이라고 설명한다.
댐을 막은 후 처음 4~5년간은 고기가 잘 낚이나 그 이후로는 조황이 안좋은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다.
이는 수심의 급격한 변화로 수초가 잘 자라지 않아 붕어의 산란이 안되기 때문이다.
지난주 충남지역의 조황은 대호만이 전지역에서 고른 조과가 나오긴했으나 두드러진 호조세를 보이지 못했다.당진포리.출포리.영탑수로.대산권.사성권 등 전지역에서 중치급이 낱마리로 낚였으며당진포리의 상류인 삼포에서 잡은 36㎝급 월척이 지난주 대호만의 최대어로 기록됐다.
현재 낚이는 씨알은 20~25㎝의 중치급이다.
그런가 하면 대동낚시회와 종로낚시회가 각각 출조한 섭벌지(충남태안군원북면신두리)와 도이지(충남당진군대호지면도리리)에서는 20㎝의 중치급만 마릿수로 낚였으며 진죽지(충남홍성군광천읍)에서는 대낚시.보트낚시 모두 빈바구니로 돌아오는 동 호인들이 눈에 띌 정도로 부진한 조황을 보이고 있다.
반면 점암지는 지난 7일 최대어를 비롯해 개봉낚시회의 강종길씨가 37㎝급 월척을 낚는 등 호조를 보였다.점암지는 평균 수심 2~3의 평지형저수지로 전역에 수초가 밀생하고 있어 보트낚시를 즐길 수 있으며 제방과 상류지역에서는 대낚시 와 릴낚시도가능하다.
김세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