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5대 총선 앞두고 4黨 수도권공략 '특별대책' 준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해 당직자들을 격려한뒤 장학로(張學魯)사건에 대한 검찰 수사를 「야당수준」으로 맹비판했다.
『張씨가 받은 21억원이 떡값이라니 그걸 누가 믿겠나.가뜩이나 국민들이 불쾌하고 기분나쁜데 수사가 그 모양이니….』당직자들은 멋적은듯 그냥 입을 다물었다.
『이대로 가면 안돼.만나는 후보들마다 아우성이에요.대통령께서도 뭔가 조치를 생각하고 계실거요.』朴위원장의 말이다.
신한국당은 요새 애가 탄다.특히 수도권지역이 더 그렇다.장학로씨 사건으로 서울의 당선가능 지역구가 18개에서 13~15개로 줄어들었다는게 자체 분석이다.얼마전까지도 강삼재(姜三載)사무총장은 『서울에서 1당을 하겠다』고 호언장담했었 다.한데 지금의 사정은 상전벽해(桑田碧海)다.
말을 매우 아끼는 이회창(李會昌)선대위의장도 1일 『검찰수사가 미진하면 재수사를 해야할 것』이라며 우회적으로 비판했다.위기의식은 다 마찬가지인 것같다.
당으로선 남은 기간동안 가능한 모든 지원을 수도권에 한다.「우세지역은 후보 개인의 역량에 맡기고 열세인 지역은 과감히 포기한다.백중지역에서 당의 청년.직능.여성조직을 풀가동하는등 인력과 자금을 집중한다」는 계획이다.하지만 그런다고 수도권의 열세가 쉽사리 만회될지는 미지수다.
그래서 「특별대책」이 나올것 같은 분위기다.흩어진 민심을 다독거릴 뭔가를 청와대쪽에서 제시할 것이라는 기대다.현재 「가신(家臣)그룹들에 대한 문책성 인사」「張씨에 대한 검찰수사 확대」「선거이후 문민2기 정치선언」등의 방안들이 예상 된다.
국민회의는 애초부터 수도권이 사활의 맥점(脈點)이었다.수도권에서 실패하면 영원히 지역당으로 전락하고 향후 대권구도에도 치명타를 받기 때문이다.張씨 사건으로 기세를 올린 국민회의가 남은 기간동안 수도권에서 써먹을 전략은 「폭로와 분 산」이다.제2,제3의 비리를 폭로하는 쇼크요법을 구사,잠재적인 여당표를 기권하게 만들거나 최소한 자민련.민주당으로 가게끔 만든다는 것이다.수도권의 2당 구도에서 여당표가 분산되면 과실은 몽땅 국민회의가 따먹을게 뻔하기 때문이다.
張씨와 관련된 비리를 추가폭로하고 3탄으로 대통령 가신의 공천개입을 터뜨린다는게 현재까지의 계획이다.
민주당도 내세울데가 수도권인데 아직까지는 뚜렷한 전과(戰果)를 못세워 초조하다.박계동(朴啓東).노무현(盧武鉉).이부영(李富榮)등 「스타군단」들이 자기 지역구에 얽매여 있기 때문이다.
자민련도 수도권의 충청표와 보수심리에 큰 기대를 걸었으나 갈수록 2당 대결구도로 판세가 굳어져 고민이 많다고 한다.아직까지는 자민련이나 민주당 모두 후보들이 지역에서 발로 뛰는것 외에중앙당 차원의 대책을 마련치 못한 것으로 보인다.
김종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