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교육감 바로 뽑아야 무너진 교육 세운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주민 직선으로 치르는 전북(23일)·서울시(30일) 교육감 선거 유세가 한창이다. 그제 6명의 후보가 유세를 시작한 서울은 초반부터 과열 조짐이다. 후보 성향에 따라 이념대결 양상으로 흐르거나 정치권 개입으로 ‘정치 선거’가 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이런 가운데 투표율이 저조할 것이란 우려는 여전하다. 서울시선관위가 어제 확정한 부재자투표 대상자는 11만8000여 명으로 18대 총선 부재자 신고인수보다 18.4% 줄었다. 총선 때와 달리 손쉽게 우편으로 투표하는 거소투표가 실시되는 데도 그렇다.

교육감은 지역 초·중등 교육에 대해 사실상 전권을 행사한다. 4·15 학교자율화 조치로 역할이 더욱 막중해졌다. 오죽하면 ‘교육 대통령’이라고 하겠는가. 이러니 누가 교육감이 되느냐에 따라 학교 현장의 판도가 달라질 수밖에 없다. 교육감의 교육철학과 정책노선에 따라 교육의 향배가 좌우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교육감 선거는 국회의원이나 시장을 뽑는 일보다 오히려 중요하다.

교육감 선택 기준은 ‘교육을 바로 세울 사람인가’가 돼야 한다. 공교육을 살리고 교육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인물이어야 한다. 서울시 교육감 선거에선 학교선택권·특목고·교원평가·학력평가 문제가 후보 간 주요 쟁점이다. 교육에도 경쟁이 도입되고 학교선택권도 넓어져야 하며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교원들도 평가를 받아야 한다. 또 과외의 폐해를 줄이기 위해 공교육도 더 충실해져야 한다. 이런 교육철학을 어느 후보가 실현할 수 있을 것인지를 똑바로 알고 찍어야 한다. 전교조가 저지른 교육의 폐해에 대해서도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교육에 국가의 미래가 달려 있고, 교육의 미래는 교육감이 결정한다. 그런 교육감을 제대로 뽑는 건 전적으로 유권자의 몫이다. 후보들의 정책을 면밀히 따져보고 올바른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 교육감을 잘못 뽑아 교육을 후퇴시켜 놓고 누굴 탓하겠는가. 한국 학부모의 교육열을 제대로 보여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