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돈 남아돌고 모자라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한국도 신기한 세상이 됐다.돈 빌려가라는 금융기관의 광고가 일간신문 1면에 나기에 이르렀다.경기가 하강하면서 기업은 투자자금 수요가 줄었다.증권시장과 부동산시장은 입춘을 지나고 더욱얼음이 단단해지고 있다.이참에 놀게 된 돈이 안 전한 곳에서 이자라도 받을 요량으로 은행으로 몰리고 있다.대기업은 이렇게 몰려온 은행돈을 쓰지 않으려고 한다.비싼 이자를 내고도 수지를맞출 수 있는 사용처가 없기 때문이다.중소기업은 돈이 필요하지만 담보가 부실하니 은행이 떼일까봐 돈을 내놓지 못한다.이통에금융권에는 돈이 넘치고 있다.
예금을 받지 않으려고 기피하는 금융기관이 이미 나왔을 정도다.빌려줄 곳 없는 돈을 예금받아 예금주에게 이자만 지급할 수는없기 때문이다.당연히 금융기관 사이의 대출전쟁이 예상된다.
때마침 은행 주총(株總)이 줄줄이 열리는 계절이다.안타까운 것은 은행의 주총은 이 격변하는 금융환경에 대처할 원천적 전략을 수립하는 일과 하등의 관련이 없다는 사실이다.만고에 아무 책임질 일 없는 은행장추천위원회라는데서 은행장을 지명한다.다른임원은 이렇게 지명된 은행장이 지명한다.주총은 형식 뿐이다.책임지고 대처해 나갈 사람이 없는 것이다.
담보가 없는 중소기업에는 담보대신 신용조사를 통해 신용있는 기업을 찾아내 대출할 수 있는 방도를 내놓아야 하는 것이 은행등 돈장수가 당면한 현실이다.이것은 책임있는 주인이 아니고선 불가능하다.이자가 비싸 기업이 돈을 꿔가지 않는 사태가 생기면이자율이 내려갈 수밖에 없다.금융기관은 자금조달비용을 백방으로노력해 낮추고,운영비용을 절약해 대출금리를 내려야 한다.이렇게하지 못하면 우리 나라의 금융기관은 국민경제의 부담스런 존재만되고 만다.
일부에선 남아서 넘치는 돈을 그 돈이 모자라서 목이 타는 곳으로 중개할 능력조차 없는 금융기관이라면 그 존재타당성은 도대체 무엇이란 말인가.금융기관의 체제와 발상이 바뀌지 않으면 금융개방시대에 살아남을 수 없음을 명심해야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