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중동’ 광고 기업 불매운동 찬반 공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보수신문이 잘못됐다고 보는 독자가 광고 불매운동을 벌이는 것은 정당한 주권행사다.” “광고주는 신문 논조의 호불호로 광고하는 게 아니라 효과를 보고 집행하는 것이다.”

한국인터넷기자협회(인기협) 이준희 회장과 한국인터넷미디어협회(인미협) 변희재 정책위원장이 미국 쇠고기 수입개방 및 촛불집회로 촉발된 일부 보수신문에 대한 광고 불매운동을 놓고 뜨거운 공방을 펼쳤다. 21일 방송된 MBC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해서다.

먼저 말문을 연 이 회장은 “독자가 광고주를 상대로 불매운동을 벌이는 것은 정당한 주권운동”이라며 “이것을 마치 특정한 배후세력이 있는 것인 양 몰고 가는 것은 정부의 잘못된 조치”라고 주장했다. 이에 변 위원장은 “해당 신문의 논조가 마음에 안들 경우 신문 자체를 불매운동하는 것은 충분히 가능하다”고 전제한 뒤 “그러나 광고주는 논조가 마음에 들어서 광고하는 것이 아니라 효과를 보고 집행하기 때문에 불매운동은 매체시장에 안좋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말했다. 또 “보수신문 절독 운동을 벌이면 된다. 그렇지 않으면 광고를 싣는 기업이 선의의 피해자가 될 수 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이 회장이 “광고 자체가 정보를 제공하는 행위다. 당연히 기업도 불매운동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반박하자 변 위원장은 “특정 신문의 논조를 보고 광고를 집행하는 흐름이 형성되면 오히려 언론탄압에 악용될 가능성이 높다”며 반작용을 설명했다. 그는 “기업에 비판적인 중도 좌파매체들이 광고에서 불이익을 당할 수 있다. 광고주에게 논조를 판단하도록 강요하는 부분은 반드시 막아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보수진영과 시민사회에서도 좌파매체에 대한 광고 불매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고 지적했다.

경제 5단체가 포털 사이트에 기업의 정당한 광고 활동을 방해하지 말아줄 것을 공식 요청한 것과 관련해 변 위원장은 “포털의 게시글 관리는 법에 위반되는 게시물을 삭제하는 임시차단 조치와 뉴스 등을 더 많이 읽도록 유도하는 편집부분의 자제 요청으로 나뉘는데 (경제 5단체의 서한은) 충분히 가능하다”고 했다. 반면 이 회장은 “이는 보수신문의 요청에 따른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며 “기업의 생존을 염려한다면 공문을 포털에 보낼 것이 아니라 정유회사에 보내 그동안 번 돈을 국민에게 되돌려 주는 일부터 해야 할 것”이라고 비아냥거렸다.

인터넷 실명제 확대 방안 논의에 대해 이 회장은 “건강한 여론이 유통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강화해야지, 처벌을 전제로 실명제를 강화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변 위원장은 “‘온라인인증제’가 실명제로 잘못 표기되면서 오해가 벌어졌는데 각 포털사를 비롯한 영리기업들이 개인정보를 수집해 악용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행자부 사이트를 통해 주민번호를 인증하도록 하고 일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정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지은 기자

▶[온라인POLL] 검찰이 최근 김경한 법무부 장관의 지시에 따라 특정 신문에 대한 광고 중단을 강요하는 네티즌 등의 집단행동을 수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