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는 노·사만의 기업 아닙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제발, 시민들의 안타까워하는 마음을 헤아려 주세요.”

울산 시민들이 파업 수순을 밟아가고 있는 현대차노조(금속노조 현대차지부)를 상대로 원만한 노사 협상 타결을 호소하고 나섰다. 울산지역 146개 단체로 구성된 ‘행복도시 울산만들기 범시민협의회’(행울협)는 19일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현대차는 노사만의 기업이 아니라 지역경제를 이끌어가는 시민의 기업”이라며 파업 자제를 호소했다.

김명규 행울협 공동위원장(울산공동모금회장) 등 60여 명의 회원은 “현대차 근로자 가족뿐 아니라 수많은 협력업체 종사자, 인근의 식당 종업원까지 현대차 노사 관계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해 무분규로 협상을 타결하면서 지역민들에게 희망을 주었고 지역경제에 크게 기여했다”며 “올해도 원만한 타결에 최선을 다해달라”고 촉구했다. 또 “조합원들도 가슴 밑바닥에는 파업 거부감이 깔려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이들이 본연의 마음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조만간 노조로 찾아가 허심탄회하게 얘기하고, 필요하면 노조 입장에서 회사를 설득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현대차노조 장규호 대변인은 “찾아오면 만나기야 하겠지만 무슨 도움이 될지 모르겠다. 이들이 시민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조직도 아니면서 여론을 호도하려 한다”고 말했다.

행울협은 공동모금회·예총·여성단체협의회·상공회의소·6·25참전유공자회·음식업협회·바르게살기협의회 등 울산지역 146개 시민·경제·사회·문화·환경단체들로 구성된 조직이다. 지난해 초 현대차노조가 연말 성과급 문제로 윤여철 사장을 폭행하는 등 파업을 벌일 때부터 모임을 갖기 시작, 같은 해 6월 현대차 울산공장으로 찾아가 4000여 명 규모의 파업 반대 궐기대회를 여는 등 지난해 현대차노조가 임단협을 무분규로 타결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현대차노조는 다음달 2일 민주노총의 ‘쇠고기 파업’에 참가하기로 방침을 확정하고, 이와 별도로 회사 측의 중앙교섭(금속노조와 사용자단체 간 협상) 참가를 요구하는 파업을 벌이기 위해 26~27일 찬반투표를 실시할 예정이다.

울산=이기원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