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 1000여 명이 “정권 퇴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광우병 국민대책회의가 정치투쟁을 본격화했다. 대책회의는 16일 참여연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5 방식으로 정권 퇴진까지 포함하는 특단의 실천을 불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석운 진보연대 상임운영위원장은 “1+5는 광우병 쇠고기 반대 투쟁을 중심으로 방송 장악, 대운하, 의료 시장화, 교육 자율화, 공기업 민영화 반대 투쟁을 함께 전개해 나간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책회의는 이런 방침에 따라 매일 주제별 촛불집회를 열기로 했다. 16일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조·중·동 규탄과 공영방송 지키기’를 주제로 촛불집회를 열었다. 17일엔 ‘대운하’, 19일 ‘의료보험 민영화’, 23일 ‘교육 자율화’, 24일엔 ‘공기업 민영화’를 주제로 집회를 열 계획이다. 특히 20~22일에는 ‘48시간 국민비상행동’에 돌입하기로 결정했다. 이 중 21일에는 ‘전 국민 심판의 날 100만 촛불대행진’ 행사도 벌이기로 했다.

그러나 대책회의가 정치투쟁에 나서면서 촛불집회 참가자는 급격히 줄고 있다. 16일 서울시청 앞 광장에는 1000여 명만이 참여했다. 집회 뒤 가두 시위를 벌인 500여 명 중 100여 명은 중앙일보를 찾아와 시위를 벌였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대책회의의 투쟁 노선에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성균관대 김일영(정치학) 교수는 “자발적인 생활정치를 선보인 촛불집회가 과거의 이념식, 이익지향적 양상으로 넘어가고 있다. 지금 추세로 가면 시민 참여는 줄고 그들만의 시위로 바뀔 것”이라고 말했다.

이충형·이진주 기자

[J-HOT]

▶ 대놓고 "정권 퇴진"…정부, 불법 왜 안 막나

▶ "이명박에 속았다"…지지층까지 촛불 가세

▶ 전재희 너마저…복지장관 후임 '인물난' 전전긍긍

▶ '아프리카' 사장 '저작권 위반' 혐의 구속…촛불때문?

▶ 촛불 참가자 뚝…시민들 "정치의 장으로" 반발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