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5선언 이행, 북과 협의할 수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김대중 전 대통령이 12일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열린 6·15 남북공동선언 8주년 기념 특별강연에 참석해 알렉산더 버시바우 주한 미국대사, 디드릭 톤셋 주한 노르웨이 대사, 김하중 통일부 장관, 김원기 전 국회의장(오른쪽부터) 등과 인사하고 있다. [사진=조용철 기자]

김하중 통일부 장관이 12일 사단법인 김대중평화센터가 주최한 6·15 선언 8주년 기념행사(여의도 63빌딩)에 참석해 축사를 했다. 김 장관은 축사에서 “이명박 정부는 7·4 공동성명, 남북 기본합의서, 비핵화 선언, 6·15 선언, 10·4 선언 등의 이행 문제를 북한과 협의할 용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2000년 김대중 전 대통령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평양 상봉 이후 남북 간에는 많은 새로운 일이 일어났다”며 “남북관계를 개척한 김 전 대통령의 용기있는 결단을 존중한다”고 말했다. 그는 “남북은 선언의 시대를 넘어 실천의 시대로 나가야 한다”며 “북한은 하루 속히 대화의 장으로 나와야 한다”고 촉구했다.

10일 김 장관의 행사 참석이 언론을 통해 알려지자 장관 집무실엔 보수 인사·단체들의 항의 전화가 잇따랐다고 한다. 이런 부담에도 김 장관이 6·15 행사에 참석한 것은 6·15 선언, 10·4 선언 등 지난 정부의 남북관계 진전을 일정 부분 인정한다는 대북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당국 간 접촉을 끊은 북한에 대화를 재개할 명분을 주려 했다는 해석이다.

축사를 마친 김 장관이 연단에서 내려와 앉은 자리는 김 전 대통령의 옆이었다. 주최 측은 회의장 중앙의 주빈 원탁에 자리한 김 전 대통령의 오른쪽엔 이희호 여사를, 왼쪽엔 김 장관을 앉도록 했다. 김 장관은 김대중 정부 시절 청와대 의전비서관과 외교안보수석을 지냈다. 김 장관 옆으론 김원기 전 국회의장, 손학규 통합민주당 대표, 천영세 민주노동당 대표가, 이 여사 옆으론 한명숙 전 총리, 장상 전 총리서리와 박상천 통합민주당 대표, 임동원 전 통일부 장관이 둘러 앉았다. 박재완 청와대 정무수석과 알렉산더 버시바우 주한 미대사도 참석했다.

김 전 대통령은 인사말에서 “남북관계는 이명박 정부 출범 후 경색 상태에 있지만 결국 화해·협력의 방향으로 발전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며 “남북이 화해·협력으로 공동 승리하는 햇볕정책을 고수해야 한다”고 말했다. 행사에선 ▶6·15 선언 존중·계승 ▶조건 없는 대북 식량·비료 지원 ▶북한의 대남 비방 중지 등을 요구하는 선언문이 채택됐다.

글=채병건 기자, 사진=조용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