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에 구청장 선거 네 번 심드렁한 강동구민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63호 14면

서울 강동구 곳곳에서 선거운동의 열기가 달아오르고 있다. 총선을 치른 지 40여 일밖에 지나지 않았는데 웬 선거일까. 6월 4일 구청장을 뽑는 선거다. 이번 재·보궐 선거에서는 강동구청장을 비롯해 인천 서구청장, 경기 포천시장 등 전국적으로 기초단체장 9명을 비롯해 광역의원 29명, 기초의원 14명을 선출한다. 선거운동 기간은 22일부터 6월 3일까지 13일이다.

선거를 앞두면 유권자들의 어깨에는 잔뜩 힘이 들어간다. 운동원들이 환하게 웃으며 90도 각도로 허리를 꺾어 인사하면 대접받는다고 느낀다. 그러나 강동구민의 표정은 별로 밝지 않다. 6년 동안 네 번이나 구청장을 뽑게 된 탓에 오히려 심드렁한 반응이다.
사연은 이렇다. 2002년 김충환(현 한나라당 의원) 구청장이 당선됐으나 2년 만인 2004년 총선에 출마하기 위해 사퇴했다. 보궐선거에서 신동우 구청장이 당선됐다. 그는 2006년 5·31 선거에서 재선됐으나 1년 반 만인 지난해 12월 여의도 입성을 위해 물러났다. 구민들은 이번에 구청장을 뽑으면 2년 뒤 2010년에 또다시 선거를 해야 한다. 법에 정해진 구청장의 임기는 4년이지만 강동구에서는 평균 2년이 안 된다.

주민들은 뿔이 났다. 지난 3월 266명의 주민이 보궐선거 비용을 주민에게 부담시키고 행정 공백을 불러왔다는 이유로 신 전 구청장을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냈다. 한 번 선거할 때마다 10억원의 선거비용이 구청 예산에서 빠져나가니 소송을 내는 것도 일리가 있다.

이런 여론을 감안한 듯 박명현 한나라당 후보는 ‘대국민 서약서’를 썼다. 구청장에 당선될 경우 자의로 중도 사퇴하지 않고, 만일 사퇴할 경우에는 보궐선거 비용은 물론이고 행정 공백으로 인한 주민들의 정신적 피해까지 보상하겠다는 내용이다. ‘좋은 선거문화 시민운동본부’는 23일 지방자치단체장 등 선출직 공직자가 임기 만료 전에 다른 선거에 입후보할 수 없도록 하는 내용의 선거법 개정을 위해 100만인 서명운동에 들어갔다.

구청장의 사퇴로 인한 선거가 마땅치 않더라도 투표소에서 민의를 보여줘야 한다. 제대로 된 일꾼을 뽑지 않으면 그 피해는 주민이 보게 된다. 



▶지난주
20일 검찰, 정몽구 현대·기아차 회장 징역 6년 구형
22일 친박연대 김노식 당선인 횡령 혐의 구속
23일 일산 초등생 성폭행 미수범에 징역 15년 선고
 
▶이번주
26일 방송영화공연예술인노조, MBC 상대 파업 예정
28일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민변) 창립 20주년
29일 법학전문대학원 법학적성시험(LEET) 시행계획 발표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