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Fountain

Risk management

중앙일보

입력

위험 사회

1986년 4월 옛 소련(현 우크라이나)의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에서 사상 최대의 원전 사고가 일어났다. 4호기의 폭발로 약 10t 가량의 방사성 물질이 방출됐다. 히로시마에 투하된 원자폭탄의 400배에 달하는 수치다. 기밀누설과 주민불안 등을 이유로 소련 정부가 사건을 쉬쉬하는 동안 피해는 커졌다. 인근 국가들까지 공포에 떨었다. 이후 6년간 발전소 해체작업에 동원된 노동자 5722명과 이 지역에서 소개된 민간인 2510명이 사망했다. 또 43만 명이 암, 기형아 출산 등 휴유증에 시달렸다.

체르노빌 원전 사고의 충격을 목도한 독일의 사회학자 울리히 벡은 같은 해 책 『위험 사회』를 발표했다. 산업화·근대화가 기술발달과 물질적 풍요를 가져오지만 그만큼 내재된 위험도 커진다는 ‘위험 사회론’이다. 국내에는 90년대에 소개됐다. 벡의 위험사회론은 그저 재앙이 많을 뿐 아니라 재앙이 현대 사회의 한 구조적 요소가 됐다는 뜻이다. 예외적 위험이 아니라 일상적 위험이 만연한 사회, 재난과 관련된 파국성을 일상생활 안에 안고 살아가는 사회라는 뜻이다. 위험에는 생태학적 재앙, 핵위기, 실업과 금융대란, 환경파괴, 지구온난화 등이 포함된다.

이처럼 위험이 반복 재생산되는 가운데, 위험에 대한 자각은 무뎌지며 통제 역시 불가능해진다. 위험은 세계화·탈지역화한다. 태안 기름유출 사고에서 보듯 정밀한 피해 계산도, 책임 배상도 쉽지 않다. 한마디로 위험의 실체를 파악할 수 없다는 점에서 막연한 불안감 자체가 위험사회의 징후인 것이다.

지난 3월 내한했던 벡은 “근대화가 극단적으로 실험된 한국 사회는 특별히 위험한, 심화된 위험사회”라고 말했다. 태안 사고에 이어 숭례문 방화, 어린이 납치 기도 CCTV 사건, 쥐머리 새우깡 등으로 뒤숭숭한 시점이라 그의 말이 더욱 특별하게 들렸다.

그러나 그 정도는 약과였다. 이제 광우병 공포는 전 국민을 패닉 상태에 몰아넣었다. 거기에 조류 인플루엔자가 있다. 국경 넘어 중국 스촨성의 대지진도 우리의 위기감을 배가시킨다.

벡은 위험통제 능력을 과장하는 국가, 즉물적 재난 보도로 사회를 더욱 위험 사회화하는 미디어를 모두 비판적으로 봤다. 벡은 “국가가 모든 위험을 통제할 수 있다고 말로만 주장하는 것은 국민의 불신을 사는, 위험한 전략이다. 국민과 조심스럽게 대화하는 것, 어떤 위험을 참아낼 수 있으며 어떤 위험을 우선 관리할 것인가에 관한 합의를 도출해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위험사회가 현대사회의 본질이라면 국가·정부의 본질은 위기 관리와 국민의 안전 보장이다. 출범 초 위기관리 능력의 부재로 스스로 위기에 빠진 우리 정부가 귀 기울일 얘기다.

양성희 문화스포츠부문 차장

유광종 국제부문 차장

Risk management

The biggest nuclear accident happened at the Chernobyl nuclear power plant in the former Soviet Union (now Ukraine) in April 1986.
Reactor No. 4 exploded, leaking 10 tons of radioactive material.
The leak was much stronger than that of the nuclear bomb dropped on Hiroshima.
Afraid of exposing secret information and civilian unrest, the Soviet government kept the accident silent while the damages widened.
Nearby countries also were fearful.
German sociologist Ulrich Beck, who observed the shock of the Chernobyl nuclear accident, published “Risk Society.” It is a theory on risk that stipulates that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brings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material prosperity, but also greater risk.
Beck’s theory on risk purports that there are not only more calamities, but that calamities are a structural part of modern society.
It is a society that encompasses catastrophic disaster in its daily life.
The risks include biological calamities, nuclear accidents, unemployment, financial commotion,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global warming.
Thus risks are repeatedly produced and our awareness of the dangers become muted, as does their control. As risks become globalized, everyone is affected.
As shown in the Taean oil spill, accurate calculation of the damage and compensation are not easy.
Beck, who visited Korea in March said, “South Korea, where modernization has been extreme, is at grave risk with many dangers.” His words resonated here, because we had just suffered the Taean oil spill, the Namdaemun arson, the attempted kidnapping of a child caught on CCTV, and the discovery of a rat’s head in shrimp crackers.
Those were relatively mild risks. The fear of mad cow disease has driven the people to a near state of panic. On top of that, we have avian influenza spreading in Korea.
The earthquake across the border in China doubled our sense of crisis.
Beck wrote, “It is important for the state to carefully discuss with the people what risks they can handle and what risks it would first manage and thus come up with an agreement.”
If risk society is an inherent characteristic of modern society, the state’s and government’s duty is to manage risk and safeguard its people.
This is something the new administration should listen to.

*The writer is a deputy culture and sport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By Yang Sung-hee [shyang@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