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마가 부른 콜레라 확산-어민들에 피해 公開대응 미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전국이 겪고있는「콜레라공포」는 발병위험지역에 대한 주의보발령늑장,방역당국의 해수및 어패류검사 실패등 사전대비책이 허술해 빚어진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보건전문가들은 보건복지부등 당국이 우리도「위험수위」에 이르렀음을 미리 알고도 당국만 알고 넘어간 것이 문제를 키웠다고 강조하고 있다.
특히 초여름부터 북한에 콜레라가 번지기 시작했고,지난8월 홍수때는 임진강등에서 북한 콜레라환자 시체가 발견돼 당국은 위험을 감지했지만 특단의 대책을 세워 공개적으로 시행하지 않았다.
당국은 지난4일 포항에서 첫 환자가 발생하자 비로소『날음식을조심하라』는 정도의 주의를 촉구하는데 그쳤고 콜레라가 창궐한 북한에 가까운 강화도지역등을 특정해 주의보를 내리지는 않았다.
보건당국은 아직 해수나 어패류에서 콜레라균을 검출하지 못하고있다. 남북간 공동방역체계 구축도 중요하나 말뿐이고 진척이 없었다. 전문가들은 남북이 하나의 땅덩어리인 만큼 전염병 발생때▲신속한 상호통보▲공동역학조사▲약품.의료진 상호지원등 공동방역체계가 필요하다고 역설하고 있다.
서울대 의대 김정순(金貞順.예방의학)교수는『남북한 간에도 방역협조체계가 빨리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한편 11일 콜레라 확진환자는 인천광역시에서 4명(인천1명,강화군3명)이 추가로 발생,모두 16명으로 늘어났다.
〈표참조〉 또 설사등 콜레라 유사증세 환자는 30명(천안 22명,포항 1명,대전 2,인천2명,강화3명),전국 보건소등에 설사증세를 신고한 사람은 27명이 늘어나 1백90명으로 집계됐다. 이에대해 보건복지부는『7월초부터 강화지역 바다 5곳에 대한 해수.어패류검사를 주1회에서 주2회로 늘리고 지역유선방송.
반상회등을 통해 주민홍보를 했다』고 해명했다.또『넓은 바다를 모두 체크하기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며 어민들의 생계에 타격을 주지않기 위해 조심스럽게 접근해야했다』고 말했다.
〈金泳燮.李榮烈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