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만원 이상 고액 연체자 는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정부와 금융기관의 잇따른 신용불량자 대책에도 불구하고 1000만원 이상을 연체한 고액 신불자의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여러 금융회사에서 연체한 다중 신불자의 비중도 증가했다.

신불자가 늘어나는 것은 물론 질적인 구조도 나빠지고 있는 것이다.

2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전체 신불자 372만명 가운데 고액(1000만원 이상) 신불자의 비중은 52.6%로 2002년 말의 49%보다 높아졌다.

2000만원 이상 연체한 신불자는 지난해 말 35.4%(131만명)에 달해 전체 신불자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또 1000만 이상~2000만원 미만은 2002년 말 16.8%에서 지난해 말 17.2%(64만명)로 계속 늘고 있다.

반면 1000만원 미만의 소액 신불자의 비중은 지난해 말 47.4%(176만명)로 2002년 말의 51%에 비해 낮아졌다.

특히 500만원 미만 신불자의 비중은 같은 기간 34.4%에서 32.1%(119만명)로 줄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소액 연체자 비중이 줄고 고액 비중이 늘어난 것은 장기간에 걸친 경기 침체와 고용 불안으로 인해 연체 금액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기 때문" 이라고 설명했다.

또 두개 이상의 금융회사에서 연체하고 있는 다중 신불자의 비중도 2000년 말 40.7%에서 지난해 말 63.1%로 크게 늘어났다.

이와 함께 전체 신불자 규모는 2000년 말 208만명→2001년 말 245만명→2002년 말 264만명→지난해 말 372만명으로 증가했다.

금융계 관계자들은 "경기 부진과 카드사들의 현금 서비스 한도 축소, 은행의 가계대출 억제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며 "'버티면 정부가 빚을 깎아줄 것'이라는 신불자들의 도덕적 해이도 신불자 구조를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정부는 지난해 8월 연체금액 1000만원 미만 소액 신불자의 신용을 회복해주는 내용의 신불자 대책을 발표했다.

이희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