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전산망 해킹 사실 시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 2월 중순 청와대 전산망 ‘이지원(e知園)’ 시스템이 해킹을 당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다고 22일자 한국일보가 보도했다. 이지원은 ‘디지털 지식정원’의 약자로 2006년 2월부터 청와대의 모든 문서 생성과 결재과정을 기록으로 남기도록 한 전산망이다.

청와대와 국가정보원이 해킹 사실을 확인한 것은 3월말께. 해킹 발생 시점은 새 정부 출범 직전이다. 중국 또는 북한으로 추정되는 지역에서 접속한 해커들이 침입한 사실까지는 확인됐으나 어떤 자료가 외부로 유출됐는지조차 확인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커들은 19일 오전 청와대 인터넷으로 향하는 혜화전화국 라인에 접속을 시도했으나 방화벽에 막혀 봉쇄됐다.

새 정부 출범 직후 청와대 내부 전산망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던 것도 해킹 때문이라는 분석까지 나오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은 3월 15일 행정안전부 업무보고에서 “청와대에 들어간 2월25일 저녁 컴퓨터가 작동하지 않았다. 컴퓨터를 다시 작동하는데 열흘이 걸렸다”고 말한 바 있다.

하지만 청와대는 22일 오전 당초 “청와대 전산망이 해킹당한 적이 없다”던 기존 입장을 불과 1∼2시간만에 바꿔“지난 2월 중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직원의 개인 PC에서 e-메일을 통해 들어온 웜 바이러스에 의해 보고서 등 일부 자료가 유출된 사실이 있다”고 시인했다. 하지만 청와대 관계자는 “해킹으로 인해 유출된 자료는 국가 안보에 직결된 내용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며 “고 덧붙였다.

이번에 사고가 발생한 PC 사용 직원은 내부 규정을 어기고, 전임자로부터 USB 메모리를 통해 자료를 인수인계 받은 뒤 개인 컴퓨터 하드에 저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문제의 직원은 개인 PC에 공무 관련 자료를 저장할 수 없도록 한 국가정보보안 기본지침 및 비서실 전산정보보안 업무지침, 그리고 국가공무원법 제56조 보안규정 등을 위반한 혐의로 조사를 받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웜바이러스를 통한 해킹 경로는 아이피(IP, 인터넷 프로토콜)를 추적한 결과 해킹 경유지의 전력이 있는 제 3국(주변국)으로 고의적인 해킹인 것으로 추정된다”면서도 “해킹된 PC는 관련 직원의 개인 컴퓨터 한 대로 이와 연결된 국가 전산망 서버 자료는 유출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 jdn@joins.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