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천억 가명계좌설 공세고삐 늦추지 않는 與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신당(가칭 새정치국민회의)등 야권 3당은 서석재(徐錫宰)총무처장관의 사퇴에도 「전직 대통령 4천억원 가명계좌설」에 대한 공세를 늦추지 않았다.
오히려 『사건의 매듭이 아니라 시작』(安聖悅자민련대변인)이라고 보고 있다.
때문에 『김영삼(金泳三)대통령이 가닥을 잡아야 한다』(金大中신당고문)고 주장했다.
『金대통령이 흑백을 가리고 수사를 지시해야 한다』고 요구했다.정계복귀후 처음으로 金대통령을 향해 직접 포문을 연 것이다.
만약 이것이 안 되면 국정조사권을 발동하고 재무위 또는 임시국회를 소집하는 한편 국정감사에서도 철저히 파헤치겠다는 것이 야3당의 공통된 입장이다.
야권은 4천억원이라는 천문학적인 돈이 전직대통령에 의해 조성된 것은 어떤 권력형 비리보다 규모가 큰 부패의 전형이라고 보고 있다.
더구나 『어떤 경로로건 金대통령은 이를 알았을 것인데도 수사하지 않은 것은 그동안 사정이 불공정했음을 입증하는 것』(李揆澤민주당대변인)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徐前장관이 이런 「청탁」을 즉각 관계기관에 수사를 의뢰하지 않고 청와대 경제수석과 국세청장에게 『봐줄 수 있느냐』고물었다는 부분은 『비밀리에 실명화하고 20~30%를 받는다는 소문이 사실로 입증된 것』(김대중고문)이라고 주 장했다.
야권은 徐前장관의 발언도 치밀하게 계산된 것이라고 의심하고 있다.민자당내 민정계와 5,6共세력의 움직임에 대한 쐐기로 보는 것이다.전직 대통령들은 사실여부에 관계없이 도덕적으로 치명상을 입게됐다.
탈당을 검토하던 민정계 의원들도 보복을 두려워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TK신당의 출현견제설에 대해서는 미묘한 차이를 노출했다. 신당측이 이 부분을 가장 의심하는데 반해 이기택(李基澤)민주당 총재는『전직대통령의 어마어마한 비리사건을 TK세력 운운하면서 국민의 눈을 다른데로 돌리려 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각각의 자금줄에 미치는 영향도 다른 것 같다.신당이 불공정사정을 비난하는데 반해 이기택총재가 『여야를 막론하고 정치권에 있는 검은돈의 대주주들은 이 사건으로 가슴이 뜨끔할 것』이라고 꼬집고 있는 것도 이런 차이를 반영한 것이다.
〈金鎭國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