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소·사과 안 하면 모든 남북대화 중단”

중앙일보

입력

북한군은 29일 김태영 합참의장이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북한의 핵 공격 대책에 관해 답변한 내용을 “선제타격 폭언”이라고 주장하면서 이의 취소와 사과를 요구하고, 이에 응하지 않을 경우 “모든 북남 대화와 접촉을 중단하려는 남측 당국의 입장으로 받아들일 것”이라고 말했다.

남북 장성급 군사회담 북측 대표단 단장은 이러한 내용의 통지문을 남측 대표단 수석대표에게 보냈다고 북한의 조선중앙통신이 이날 보도했다.

통지문은 특히 “우리 군대는 당면하여 군부 인물들을 포함한 남측 당국자들의 군사분계선 통과를 전면 차단하는 단호한 조치를 취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이 문제 삼은 대목은 김태영 합참의장이 26일 청문회에서 “북한이 소형 핵무기를 개발해 남한을 공격할 경우 어떻게 대처하겠느냐”는 김학송(한나라당) 의원의 질문에 “중요한 것은 적(북한군)이 핵을 가지고 있을 만한 장소를 확인해 타격하는 것”이라고 답변한 내용이다.

이 답변이 일각에서 ‘선제타격론’으로 해석되자 합참은 보도자료를 내 “북한이 핵무기를 가졌다고 가정했을 때의 대비책에 관한 질문에 대해 핵 억제를 위한 일반적인 군사조치 개념을 밝힌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북측 통지문은 김태영 합참의장의 답변을 “선제타격 폭언”이라고 규정하고 “지금까지 북남관계 역사에서 일찍이 있어 본 적이 없는 가장 엄중한 도전이며, 우리에 대한 공개적인 선전포고나 다름없는 무분별한 도발행위”라고 비난했다.

통지문은 “우리 군대는 남측이 시도하는 사소한 선제타격 움직임에 대해서도 그보다 더 신속하고 그보다 더 위력한 우리 식의 앞선 선제타격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조선중앙통신은 북측 단장이 “위임에 의하여” 이 같은 입장을 통지했다고 보도했으나, ‘위임’의 주체는 밝히지 않았다.

이에 앞서 북한 외무성은 29일 유엔 인권이사회가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의 임기를 연장키로 결의한 데 대해 “미국의 사촉(사주)을 받은 유럽연합(EU)과 일본의 반공화국(북한) 정치모략 책동의 산물”이라며 “단호히 전면 배격한다”고 말했다.

외무성 대변인은 조선중앙통신 기자와의 문답에서 “우리 공화국의 인권 상황을 비난하고 유령 같은 특별보고자의 임기를 1년간 연장하는 내용의 결의가 채택됐다”며 “이 결의는 허위와 날조로 일관된 정치적 모략 문서”라고 주장했다.

오영환 기자, 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