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고개드는 은행 합병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금융.증권가에 은행 합병설이 퍼지고 있다.
과거에도 이런 소문이 여러번 나오긴 했지만 이번에는 전보다 구체적으로 거론되는데다 금융산업 개편안 발표(6월말)를 앞두고있어 금융계에 미치는 강도가 훨씬 강한 분위기다.
이같은 소문이 강한 것은 무엇보다 정부가 현재 금융기관간의 합병이 보다 용이해지도록 하는 내용의 법 개정안을 올 가을 정기국회에 올리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재경원은 금융기관의 합병및 전환에 관한 법률(合轉法)에서 명시한 조세지원을 조세감면법등 세법에 반영,실질적인 조세지원이 가능토록 하고 합전법도 보완할 점이 있으면 손질할 방침이다. 일본에서도 도쿄 은행과 미쓰비시 은행이 합병을 선언했으며 네덜란드등 많은 나라에서 은행의 합병이 자율적으로 이뤄지고있는 세계적인 추세도 이같은 소문에 신뢰성을 더해주고 있다.
합병 대상으로 가장 자주 거론되는 곳은 국민은행과 외환은행.
서민층에 깊숙이 파고든 소매금융 전문 국민은행이 외환.국제 업무에 강한 외환은행과 합칠 경우 대형화와 함께 기능의 상호보완으로 경쟁력이 높아질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더구나 국민은행은 아직 정부가 대주주(정부 지분율 34.37%)이며 외환은행은 한국은행(지분율 47.88%)이 대주주라 다른 곳에 비해 합병이 수월하다는 지적도 있다.
이밖에도▲외환은행과 신한은행▲대구은행과 대동은행▲중소기업은행과 동남.대동은행▲하나은행과 보람은행▲평화은행과 동화은행의 합병설에 이르기까지 가능한 조합(組合)이 다양하게 나오고 있다.
물론 아직은 설(說)만 무성할 뿐 아직 정부당국의 구체적인 움직임은 감지되지 않고 있다.
또 대다수은행 관계자들도 은행 대형화의 필요성에는 공감하면서도 인위적인 합병의 부작용을 우려하기도 한다.
〈梁在燦.李在薰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