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자원봉사어떻게할까>上.조직적인 봉사프로그램 필요하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내년부터 국.중.고교에 종합생활기록부가 도입됨에 따라 여기에기록되는 학생 봉사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이봉사활동 기록이 상급학교 진학 사정자료로 활용되므로 그 중요성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지난해부터 자원봉사 캠페인을 벌여온 중앙일보는 학생 봉사활동 정착과 활성화를 위한 시리즈를 세차례에 걸쳐 마련한다. <편집자 주> 중.고교 학생들의 봉사활동은 교내.교외가 있을 수 있다.장차교사들은 학생들이 어떤 곳에서 무슨 내용의 일을 하더라도 이를봉사활동이라고 인정만 하면「종합생활기록부」에 기록할 수 있다.
그러나 교사의 개입이 없는 봉사활동은 자칫「임 의적」인 활동으로 객관적 평가가 어려워 시비의 소지가 될 수 있다.예를 들어몇몇 학생들이 여름방학에 바닷가로 캠핑을 가 며칠동안 쓰레기를주웠다면 이를 어떻게 확인하고 어떻게「종합생활기록부」에 기록할것인가. 이런 점에서 학생들의 자원봉사가 입시라는 제도적 틀과연결될 경우 결국은 학교측이 개입하고 조직적으로 관리하게 된다.학생들의 학교밖 봉사활동은 교육적 차원에서도 학교측이 관심을갖고 개입할 필요는 충분하다.
학교의 개입은 모든 학생의 봉사활동을 조직된 프로그램으로 접근함을 말한다.즉 교사들이 개별 학생들을 기관 단체 프로그램에배치하거나 팀을 짜게 해 자원봉사 프로젝트를 스스로 해보게 하는 것이다.그러나 이같이 학교가 개입,학생 자원 봉사가 잘 운영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사들의 여건과 능력이 갖추어져야 한다.즉 학생 개개인을 돌볼 수 있는 시간.예산등의 여건과 더불어 교사들의 자원봉사에 대한 지식,다양한 프로그램 조직기술,공정한 평가 자세등이 갖춰져야 한다.
학생들에게 자원봉사를 어떻게 시키고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교외 자원봉사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기관배치=학생들을 사회복지 시설 기관이나 환경.문화.스포츠단체등에 보내 자원봉사를 하게 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들 기관 단체들에 대한 정보를 가져야 한다.그러나 중요한 것은 무조건 기관 단체들에 보내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학생 자원봉사를 어떻게 받아 어떤 프로그램을 실시하겠는가를 파악하는 것이다.기관측과의 계약 없이 학생들을 보냈다가는 십중팔구 중도탈락하게 만든다. 학생들을 받는 기관측은 그들을 어떤 프로그램에 얼마동안 배치해 어떤 효과를 낼 것인가를 정한다.그리고 자원봉사가 보람있고 효과적이기 위해 지도(슈퍼비전)와 평가를 잘하고 학교에 활동상황을 정기적으로 보고해야 한다.
교사와 기관은 사전에 이같이 프로그램 계약하에 학생들을 보내고 받아 봉사활동을 시켜야 한다.그러나 현재 기관 단체에는 많은 학생을 개별배치하는 것이 쉽지 않다.교사들은 시간등 여건이부족하고 기관은 많은 학생을 받아 프로그램을 조직할 능력이 부족 해 학생들을 꺼리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사회에는 자원봉사 기관 단체들을 프로그램별로 분류한제대로 된 자료도 없다.최근 몇몇 단체와 보건복지부가 자원봉사기관 단체 목록을 펴냈지만 미흡하기 짝이 없는 상태다.사회복지분야에선 현재 한국사회복지협의회가 전국 자원 봉사 전산망 작업을 하고 있는데 이것이 완성되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팀 접근=학생들을 지역사회 기관 단체에 보내는 것이 마땅치않다면 학교에서 교사가 나서 직접 자원봉사를 지도할 수 있다.
이 경우 학생들을 팀으로 조직,봉사를 하게 하는데 사실 자원봉사를 클라스 교과과정에 포함시키는 미국의 경우 주로 이 방법을 활용한다.
「봉사학습」이라 불리는 이 학습방법은 학생들이 스스로 할 일을 정하고 준비(P)-행동(A)-반성(R)의 순환과정을 거치게해 자원봉사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이는 접근이다.
〈그림 참조〉 예를 들어 학생들이 지역사회 빈곤가정들을 돕기로 했다면 먼저 그들 빈곤가정의 실태를 조사,무엇이 시급한 문제인가를 파악하고 모금 캠페인과 같은 봉사활동을 계획하는 것이다.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직접 빈곤지역을 가 보고 주제와 목표를 정하고 프로그램을 설계하며 활동과 평가작업까지 모든 일을 주체적으로 실행한다.
이 P-A-R 접근은 학생들로 하여금 민주적 토론,문제해결프로그램 계획,평가등의 능력을 키우게 해 장차 사회문제 해결에 적극적인 시민으로 육성하려는데 목적이 있다.이 방법은 방과후 특활시간이나 방학중에 실시할 수 있는데 교사들은 무엇보다 그룹지도능력을 향상해야 한다.
주입식 교육이 아니라 학생들을 그룹으로 잘 조직해 지역사회 문제파악과 해결방안을 찾도록 학생들의 자치 능력을 가꿔주는 것이다. 팀 접근은 많은 학생을 동시에 받는 지역사회 기관 단체들에도 필요한 방법이다.여러 팀이 구성될 경우 스스로 관리체계를 만들게 할 수 있다.예를 들어 경험자 혹은 상급자가 슈퍼바이저가 되면서 피라미드식 조직구조를 형성케 하는 것이다 .
〈昶〉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