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국大부지 어떻게 돼가나-배경.경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서울시가 풍치지구해제문제로 물의를 빚었던 단국대부지를 고도제한지구로 지정키로 방침을 세운데 이어 23일 열리는 시도시계획위원회에서 고도제한범위를 최종적으로 결정할 방침이어서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서울시는『남산및 응봉산 경관보호를 위해서는 단국대 부지에 대한 건축규제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입장이지만 단국대는『고도제한지구 지정은 명백한 사유재산권 침해일 뿐아니라 명문 사학을파산으로 몰아가는 극약처방』이라며 크게 반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단국대측이 이같이 반발하는 것은 풍치지구해제를 조건으로 단국대부지를 매입해 조합아파트를 짓기로한 세경진흥과 동신주택측이단국대부지가 풍치지구해제는 고사하고 고도제한지구로 묶이면 사업성이 없어 아파트 건립을 포기할 수밖에 없다는 입 장을 취하고있기 때문이다.
수천억원대의 빚을 진 것으로 알려진 단국대는 풍치지구를 해제시켜 비싼값으로 부지를 팔아 매각대금 일부로는 빚을 갚고 나머지 돈으로는 학교를 이전하는 계획을 추진해왔었다.
때문에 단국대측은 세경진흥등이 부지매입을 포기할 경우 대학 재정은 파산지경에 이르게 된다며 각계에 규제완화를 호소하고 있다. 단국대 관계자에 따르면 현재 학교측의부채는 1천8백여억원.장충식(張忠植)前총장은 이 부채를 해소하기 위해 지난 92년부터 한남동캠퍼스 부지(4만2천여평)매각을 추진해 왔다.
단국대부지는 남산과 응봉산에 둘러싸여 있고 한강을 내려다 보고있어 전망이 좋은데다 교통여건도 좋기때문에 전체부지중 풍치지구로 묶인 1만7천여평까지 해제하면 아파트 건립입지로서는 최적지라는 판단을 내리고 부지매각을 추진해 왔다.단국 대측은 이 과정에서 전문주택업체인 세경진흥을 주계약자로,중견건설업체인 동신주택을 보증회사로 지정해 지난 93년9월 매매약정을 체결하게된 것이다.
세경진흥측이 단국대 부지에 조합아파트를 짓기로 한 것은 조합아파트는 일반분양민간아파트와 달리 정부의 분양가 규제를 받지않기 때문에 수익성이 높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단국대측은 1만7천여평의 풍치지구를 해제하는 조건으로「부지 전체의 매매가를 2천7백여억원(평당 7백3만원)으로 결정한다」는 약정을 체결하게 됐다.
정부가가 신경제 5개년계획을 발표하면서「과밀억제권역(서울)안에 위치한 대학은 성장관리권역으로 이전을 추진하겠다」는 내용을발표한 것도 크게 작용했다.계약금및 중도금으로 9백10억원을 단국대에 지불한 세경진흥은 지난해 단국대측에 약 정서대로 풍치지구를 해제해줄 것을 강력히 요구했다.
단국대는 이같은 요청에 따라 지난해 12월22일 서울시에「풍치지구해제 신청서」를 접수시킨 뒤 김학준(金學俊)이사장을 통해최병렬(崔秉烈)시장에게 풍치지구 해제를 꾸준히 요구해왔으며 崔시장은 파산직전의 대학을 구제한다는 차원에서 풍 치지구해제 검토를 지시했었다.
그러나 풍치지구해제방침은 환경단체등의 반발과 남산경관보호라는원칙에 부닥쳐 무산됐고 세경진흥측은 지난 3월24일 서울시에 낸「단국대 풍치지구해제 신청」을 철회했다.
그러나 서울시는 풍치지구 해제를 불허하는 대신 지난 4월14일 용산구가 단국대 부지 전체의 고도는 제한하면서도 부지 높이에 따라 건물높이를 3~12층이내로 규제하는 남산주변 최고 고도지구로 지정했다.
〈李哲熙.申容昊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