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여론조사] 영남 민주당, 호남 한나라 “설 곳 없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고질적 지역주의가 더욱 악화돼 영남에서 비한나라당, 호남에서 비(非)통합민주당 후보가 당선될 가능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전망은 중앙일보 조사연구팀이 5일과 7일 지난 총선 때 영남에서 비한나라당 후보가 당선된 지역과 이번 총선 때 호남에서 비통합민주당 후보의 선전이 예상되는 지역 유권자 287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른 것이다(각 지역구 평균 411명, 오차범위 ±4.8%포인트).

영남권 5개 지역 중 비한나라당 후보가 승리를 장담할 수 있는 곳은 한 곳도 없었다. 현재 선두를 달리고 있더라도 조만간 한나라당 공천 내정자가 확정되고 60%에 가까운 정당 지지율이 뒷받침될 경우 고전이 예상된다. 대구·경북과 부산·울산·경남 등 영남권 68석 중 한두 군데를 제외한 전 지역을 한나라당이 석권할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

민주노동당의 유일한 지역구 현역인 권영길(창원을) 의원은 25.3%로 선두였지만, 공천 내정자 발표를 앞둔 한나라당 예비후보의 지지율 합계에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무현 전 대통령 출신 지역인 김해을도 비슷한 상황이다. 최철국 통합민주당 의원이 30.0%로 앞서고 있지만 한나라당 예비후보 지지율을 합치면 선두를 빼앗길 처지다. 부산에서 유일한 여당 당선자였던 조경태(사하을) 의원 역시 예비후보 2명의 지지율을 더할 경우 오차범위 내의 박빙 승부가 불가피하다.

호남권에선 선전을 점쳐볼 비통합민주당 후보를 찾기조차 힘들었다. 공천 심사 대상에서 배제돼 무소속 출마 가능성이 있는 김홍업(무안신안) 의원과 박지원 전 대통령 비서실장(목포)을 꼽을 수 있지만 그들의 지지 기반을 고려하면 순수한 의미의 비통합민주당 후보가 당선될 만한 곳은 없는 셈이다.

신창운 여론조사전문기자

60.6%

총선 투표율은 갈수록 낮아지는 추세다. 1992년 14대 총선에서 71.9%를 기록한 뒤 63.9%(15대), 57.2%(16대)로 떨어졌다. 그나마 17대에선 거센 탄핵 역풍 덕에 60.6%까지 올랐다. 20년 만에 대선과 총선이 잇따라 치러지는 18대 투표율이 얼마나 될지 주목된다.

▶관련 여론조사 게시판 보러가기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