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토부의 눈에 띄는 환경 정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9면

교토부(府)의 환경 대책은 2005년 제정된 지구온난화 대책 조례를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조례는 구체적이며 누구나 이해하기 쉽고 실천 가능하도록 만들어졌다.

조례에 포함돼 있는 ‘에코(환경) 마이스타’ 제도를 보자. 전기제품이나 자동차를 팔 때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잘 설명해 주는 사람에게는 달인이란 의미의 마이스타 호칭을 부여하도록 했다. 급출발·급정거를 줄여 경제적인 운전을 해온 사람들이 받게 되는 ‘에코 드라이브 마이스타’는 558명에 이른다.

이 조례 덕분에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 옥상에 녹화 작업을 의무화한 것도 잘 시행되고 있다. 옥상 녹화는 ‘열섬 현상’을 크게 완화해 주고 있다. 교토부 청사를 비롯해 455곳이 참여하고 있다. 이들 운영자도 마이스타 칭호를 받았다.

교토부는 이런 구체적인 작업의 선두에 서 있다. 교토부는 청사 차원에서는 이산화탄소를 20%까지 줄이자는 목표를 내걸고 있다. 지난해부터 겨울에는 창문에 단열 필름을 붙였다. 휴대전화가 잘 안 터질 정도다. 옥상에 태양열 장치를 설치해 솔라 시스템이 작동하는 환경주택을 만드는 새로운 주택 건설에도 착수했다.

‘모델 포레스토(숲)’를 만들어가는 작업도 진행 중이다. 캐나다에서 크게 발달한 이 제도는 지역 주민을 중심으로 공무원·기업·자원봉사자 등이 모두 힘을 합쳐 산림을 가꾸는 활동이다. 산림이 75% 정도인 교토는 얼마든지 아름다운 숲 가꾸기를 할 수 있는 천혜의 조건을 갖고 있다. 이미 산토리·코카콜라·무라타제작소·교토대학 등 8개 기업·단체가 참가하는 등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효율적으로 에너지 절약 경영을 하기 어려운 중소기업을 위해선 ‘교토 에코시스템(KES)’이란 제도를 만들었다. 에너지 절약을 잘하는 기업에는 KES를 인증해 주고, 금융회사에서 싼 이자로 융자를 받는 ‘에코 론’을 적용해 준다. 717개 중소기업이 참여해 에너지 절약에 나서고 있다. 이 정책을 통해 중소기업들의 경영 효율이 높아지고 경영 체질이 탄탄해져 교토, 나아가 일본 경제의 선순환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교토=김동호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