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경기지사 “광교 신도시를 GMV처럼 국제적 친환경도시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광교 신도시는 서울의 베드타운이 아닌 글로벌 시티로 만들어 갈 계획입니다.”

김문수(사진) 경기도지사는 광교 신도시 개발을 설명할 때 늘 ‘차별화’를 강조한다. 지난달 30일 경기도청 집무실에서 만난 그는 이번에도 “광교 신도시는 분당·일산 등 과거 1기 신도시와 차별화하겠다”고 말했다.

차별화의 초점은 우선 생태 환경 도시에 맞춰졌다. 21세기 글로벌 화두인 친환경 트렌드를 따랐다고 한다. 이는 몇몇 지표에 상징적으로 나타난다. 예컨대 광교 신도시의 녹지율은 41%로 선진국 기준으로도 높은 편이다. 인구밀도도 ㏊당 63명으로 영국의 생태적 도시 재생 사업으로 주목받는 그리니치 밀레니엄 빌리지보다 낮다.

김 지사는 “광교 신도시의 중심지가 되는 행정복합타운은 도시 건축적으로 주목받는 플레이스 마케팅의 모델로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인천공항 인테리어 설계를 맡았던 장 폴 빌모트 등 외국 건축가, 예술의전당을 설계한 김석철 명지대 건축대학장 등 다양한 전문가 그룹을 참여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인구가 1000만 명을 넘는 경기도는 기존 도시의 재생과 함께 신도시 건설도 병행해야 할 것”이라며 “앞으로는 전원도시·예술도시 등 소규모의 특색 있는 신도시를 지속적으로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도시화를 반영해 양질의 주거 공간과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이 지방정부가 해야 할 일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이 같은 계획을 추진하는 데는 현실적 제약이 적잖다고 한다. 중앙정부 차원의 규제를 가리키는 말이다. 김 지사는 “경기도는 넓고 양호한 주거지를 충분히 갖추고 있으나 여러 가지 규제 탓에 계획 실행에 어려움이 많다”고 말했다. 또 “양질의 주거 공급도 분양가 상한제, 임대주택 의무비율 등 각종 규제로 인해 소비자의 니즈에 맞춘 고품질의 주거 공급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특히 직장이 있는 곳에 주거를 제공해 교통 유발을 줄이는 것이 친환경적인 방법이지만 이것도 실행에 옮기기 어렵단다. 김 지사는 하나의 사례로 ‘우선 입주권’에 대한 제한을 꼽았다. 수원 주변의 고급 연구 인력은 적어도 2만5000명인데 대부분은 강남이나 분당에서 출퇴근한다고 한다. 이들에게 광교 신도시의 우선 분양권을 주면 좋을 텐데, 그렇게 할 수 없는 게 현재의 주택공급제도라고 김 지사는 지적한다.

“그 지역에 일자리를 가진 사람에게 우선 분양권을 주는 것은 교통 유발을 줄이는 등 친환경적인 계획임에도 특혜 시비로 인해 추진이 어렵다는 것은 반드시 고쳐져야 합니다.”



광교 신도시는 …

 경기도 수원시 이의동 및 용인시 상현동 일대 1125.3㏊(341만 평)에 건설되는 신도시다. 분당의 절반이 조금 넘는 크기다. 2011년 완공 예정으로 3만1000가구의 주택을 지어 인구 7만7500명을 수용한다는 계획이다.

총사업비는 용지 보상비 4조2000억원을 포함해 총 10조원이 투입된다. 사업은 경기도와 수원시·경기도시공사가 함께 맡고 있다. 주택은 단독 758가구, 연립 2313가구, 아파트 2만2469가구, 주상복합 4037가구가 건설된다.

경기도와 수원시는 광교 신도시를 ‘대한민국 신도시의 모델’이 되도록 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고 선언했다.

이에 따라 녹지 비율이 41%로 잡혔다. 또 인구밀도도 ㏊당 63명의 저밀도로 계획됐다. 무엇보다 주거환경의 쾌적성을 앞세운 것이다.

또 국내외 기업, 특히 연구개발(R&D) 중심의 기업을 유치한다는 계획도 세워졌다. 지역에 고급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내 광교 신도시를 자족도시로 키우겠다는 것이다.

광교 신도시에는 광교산과 이어지는 생태녹지축이 조성돼 ‘그린 네크레이스’가 조성된다. 또 중심에 건설되는 행정타운에는 도청 등이 들어선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