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대통령의 '고무줄' 재산 등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0면

공직자 가족들은 1월이면 은행을 들락거리느라 바쁘다. 공직자 재산 신고를 위해 예금이나 대출 잔액증명서 등을 떼야 하기 때문이다. 행정자치부는 신고 재산이 정확한지 파악하기 위해 거래 금융회사의 계좌를 조회한다. 이 과정에서 어린 자녀의 예금 10여만원을 신고 때 빠뜨렸다가 경고 통지를 받았다는 공무원도 있다.

공직자의 재산 신고는 이 같은 과정을 통해 이뤄진다. 그런데 노무현 대통령은 지난해 취임 당시 2억6000여만원의 재산을 누락해 신고했다. 청와대의 해명은 총무비서관의 실수로 빠뜨렸다는 것이다. 취임 전 부인 권양숙 여사 명의로 된 서울 명륜동 빌라를 4억5000만원에 팔아 이 중 1억9000만원은 빚을 갚는 데 썼고 나머지 2억6000만원의 잔금을 재산 신고 때까지 받지 못했는데, 총무비서관의 실수로 잔금을 '채권(債權)'으로 신고하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한달 안에 받을 돈이 2억원이 넘게 있는데, 이를 자기 재산으로 생각하지 않는 사람이 있을까. 또 비서의 실수로 빠뜨렸다고 하더라도 대통령이나 부인이 재산 신고 내역을 봤을 때 이를 즉각 시정하는 게 상식적이지 않을까.

이 문제는 지난해 재산 신고 때도 거론됐다. 당시 명륜동 빌라 매각대금이 포함되지 않은 데 대한 질문에 청와대 측은 "개인 빚을 갚는 데 썼다"고 해명했다. 빚을 갚는 데 썼다던 돈이 되돌아온 희한한 일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청와대는 엊그제 "취임 와중에 경황이 없어 행정상의 착오로 누락됐다"고 밝혔다. 그렇다면 빚을 갚는 데 썼다는 일년 전의 해명 역시 경황이 없어 나온 착오라는 얘기인가.

盧대통령의 재산은 우리의 관심사가 아니다. 대통령의 정직성이 문제인 것이다. 가뜩이나 장수천 등 대통령을 둘러싼 금전 관련 잡음이 적지 않은 상황에서 이런 일이 또 벌어졌기 때문이다. 일반 공무원에 대해서는 자녀들 코 묻은 저금통장까지 뒤지면서 대통령은 빠뜨린 억대의 돈을 '실수'라는 변명으로 넘어가서야 이중잣대라는 비난을 면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