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평양대화록’ 자체 조사 발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그래픽을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가정보원은 15일 김만복 원장과 북한 김양건 노동당 통일전선부장 간의 대선 전날 면담 내용을 담은 인수위 보고 문건이 언론에 보도된 데 대한 자체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김 국정원장이 유출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한 직후였다. ‘국정원장·북한 통전부장 환담보고서 유출 경위’라는 제목으로 국정원이 배포한 보도자료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면담록 작성 배경=김 국정원장은 지난해 12월 18일 남북 정상회담 기념 식수 표지석 설치를 위해 방북했으나 KBS가 지난 3일 원장 방북 사실을 보도한 이후 일부 언론에서 대선을 겨냥한 ‘북풍 기획’ 의혹을 제기함에 따라 해명의 필요성을 느꼈다. 이에 따라 국정원은 5일 인수위 업무보고 때 ‘국정원장의 선거 하루 전 방북 배경과 경과’라는 제목의 자료를 작성·보고했다. 그러나 인수위 측은 ‘북풍 기획’과 관련한 의구심이 여전하다며 김 원장과 김양건 부장 간 환담 및 오찬 면담 내용 등에 대한 추가 보고를 요청했다. 이어 인수위 정무분과 관계자 1명과 외교안보통일분과 관계자 1명은 남북 정상회담(1급 비밀) 대화록을 국정원 대북 담당 차장이 7일 보고할 것을 요청했다. 이에 따라 국정원은 ‘남북 정상회담 대화록’을 인수위 측에 보고했다. 그러나 이 자리에서도 국정원장의 선거 하루 전 방북이 대선에 영향을 미치려는 북풍 공작이라는 등의 의혹이 제기되고 모 언론 사설에서도 ‘청문회감’이라는 의혹이 계속 제기됐다. 이에 따라 김 원장은 오해를 일소하기 위해 김 부장과의 환담 내용을 정리, 인수위 정무분과 등에 8일 오후 배포했다.

 ◆언론 보도 경위=김 원장은 의혹이 확산되는 데 대한 적절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판단, 9일 평소 친분이 있는 한 언론사 간부 및 국정원 퇴직 직원 등 14명에게 의혹 해소를 위한 설명과 함께 인수위 보고자료를 제공했다. 김 원장은 언론사 간부에게는 9일 오전 직접 전화를 걸어 ‘비보도를 전제로 자료를 제공하겠다’고 통화한 뒤 국정원 간부 C씨를 불러 전달토록 지시했다. 그에 따라 C씨는 같은 날 오후 3시 비보도 약속을 확인한 뒤 문건을 밀봉 상태로 전달했다.

 ◆비밀 등급이 아닌 이유=국정원장의 비공개 방북 사실 자체는 비밀로서 보호할 가치가 있는 비밀임에도 이미 언론에 공개됨으로써 비익성(※정보기관이 통상 쓰는 용어로 비밀을 유지할 필요)을 상실했다. 이미 방북 사실이 공개되어 버린 상황에서 방북 결과도 ‘대북 협상’이 아닌 ‘단순한 환담’에 불과한 일상적인 것이어서 국가 안전보장에 유해한 결과를 초래할 우려가 있는 국가 기밀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또한 자료의 작성 목적도 각종 의혹 제기에 따른 국민의 궁금증을 해소하고 알 권리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채병건 기자

[동영상] 金국정원장 "내가 대화록 유출…책임 통감 사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