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이 자동차型 대기오염 몸살-94대기오염현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전국에 오존.이산화질소등 자동차형 대기오염이 심화되고 있으며대도시의 위성도시나 지방 중소도시에서 특히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2일 환경부가 발표한「94년도 대기오염도 현황」에 따르면 광화학성스모그의 원인물질인 오존의 경우 단기기준(시간당 0.1PPM)을 초과한 지역이 93년의 12곳에서 지난해는 모두28곳으로 2배이상 늘었다.
〈표 참조〉 기준초과 횟수도 93년에는 서울성동구성수동이 17차례로 가장 많았으나 작년에는 서울송파구방이동이 54차례나 기준치를 넘어선 것을 비롯해 서울오류동.성수동,경기부천시내동,경북김천시평화동등 모두 9개 지역에서 각각 20회이상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당 최고오염도도 지난해 8월 서울 광화문지역이 기준치를 무려 3배이상 초과한 0.322PPM까지 올라가 93년 최고치(0.159PPM,서울구로구오류동)의 2배에 달했다.이와함께 자동차 배출가스가 주원인인 이산화질소도 서울등 수도권지역이 악화돼 전국최고치(0.246PPM,기준 0.15PPM)를 기록한서울강서구화곡동은 단기기준을 7차례나 넘었다.
후진국형 공해로 지목되는 아황산가스오염도 중규모 도시에서는 여전해 안양.수원.울산.마산.포항.청주.충주.대구시등 전국 9개지역의 연평균 오염도가 기준(0.03PPM)을 초과했다.
특히 이같은 대기오염은 대도시보다 위성도시나 지방의 중규모 도시에서 심각해 수도권인 수원.성남.안양.부천.광명.의정부시는서울이나 일반도시에 비해 대기오염도가 매우 높은 상습 오염지대로 나타났다.
〈朴鍾權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