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온실가스 감축을 기회로 활용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4면

세계 180여 개국 대표들이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온실가스 감축에 참여하기로 합의했다. 선진국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교토의정서에 상응하는 노력을 하고, 개발도상국도 검증 가능한 방법으로 자발적 감축을 한다는 것이다.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유엔기후변화회의는 이 같은 내용의 ‘발리 로드맵’을 채택하고 폐막했다.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를 정한 1997년 교토의정서는 선진 37개국만 참여하고 있는데, 이번에는 세계 모든 나라가 참여한 게 특징이다. 교토의정서에서 탈퇴한 미국도 동참했다. 발리 로드맵에 따라 2009년 덴마크 코펜하겐 회의에서 새 기후변화협약을 체결하고, 2012년 만료되는 교토의정서를 대체하면 온실가스 감축은 명실공히 인류의 지상 과제가 되는 것이다.

교토의정서 때는 개도국으로 분류돼 빠졌던 우리도 감축 의무를 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합의가 아니더라도 더 이상 우리는 온실가스 감축을 피해갈 수 없는 입장이다. 세계 13위의 경제 대국이고, 세계 9위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안하면 국제사회에서 규모에 걸맞은 역할을 할 때가 됐다. 지구온난화를 막는 데 동참하는 것은 지구촌의 일원으로서 당연한 의무이기도 하다.

 정부는 입장을 분명하게 정하고, 대책을 마련하기 바란다. 적당히 피하려고 해선 비용과 혼란만 커질 뿐이다. 온실가스 배출권을 거래하는 국내 시장을 확대하고, 친환경 산업에 인센티브를 주는 등 관련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에너지를 본격 개발하는 계기로도 삼아야 할 것이다. 기업도 발리 로드맵을 기회로 활용해 적극 대처해야 한다. 온실가스 배출권을 추가로 확보하는 방안을 연구하고, 파생되는 신시장을 개척하는 도전 정신이 필요한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