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기업은행장 인사 혼선 … 재경부·금감위 파워 게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연말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기업은행장을 비롯한 금융계 요직 인사가 흔들리고 있다. 재정경제부와 금융감독위원회의 신경전에 청와대 실세의 입김까지 가세해 막판 혼선을 빚고 있다.

 발단은 강권석 행장의 타계로 빈 기업은행장 인사였다. 애초 재경부는 진동수 전 재경부 제2차관을 염두에 뒀다. 진 전 차관은 재경부 차관을 지내고도 다음 자리를 정하지 못한 채 물러났기 때문이다.

하지만 막상 공모 절차에 들어가자 금융감독위원회와 현 정부 386 실세 양쪽에서 견제에 나섰다. 금감위에선 이우철 금융감독원 부원장이 경쟁에 나섰고 386 실세 쪽에선 진 전 차관의 성향을 문제 삼았다. 진 전 차관은 재임시절 남북경제공동위원회 차관회의 때 대북 지원을 놓고 386 실세와 언쟁을 벌여 불편한 관계가 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재경부와 금감위가 자존심 대결을 벌이는 모습으로 비치자 두 부처는 지난주 말 진 전 차관으로 후보를 단일화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그러자 이번엔 윤용로 금감위 부위원장이 나섰다. 11일 마감한 기업은행장 공모에 윤 부위원장이 막판에 참여한 것. 그는 헤드헌터도 통하지 않고 본인이 직접 공모 신청서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다 기업은행 노조도 이날 “기업은행 위상을 감안할 때 차기 행장은 현직 재경부 차관이나 금감위 부위원장이 바람직하다”는 성명을 내 사실상 윤 부위원장을 지지하고 나섰다. 청와대에서도 386 실세와 불편한 진 전 차관보다 윤 부위원장 쪽을 선호한다는 이야기가 흘러나온다. 이 때문에 기업은행장 인사는 막판 혼선이 불가피해졌다.

 기업은행장 인사 구도가 헝클어지면서 금감위 인사도 판을 다시 짜야 하게 됐다. 금감위는 애초 이우철 부원장이 움직일 것으로 보고 인사구도를 짰으나 윤 부위원장이 나가면 차관급 인사가 돼 청와대를 거쳐야 한다.

 13일과 14일 공모 마감하는 예금보험공사와 자산관리공사(캠코) 사장 후보로는 재경부와 금감위가 한 명씩 내보내기로 했다. 예보 사장에는 박대동 금감위(행시 22회) 상임위원, 캠코 사장에는 이철휘(행시 17회) 재경부 대외부문 장관특별보좌관이 유력하다.

정경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