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익재단 규제일변도 탈피를-정책방향 심포지엄 내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정부는 규제일변도에서 벗어나 공익재단 설립을 위한 재산출연을 장려하되 재단운영계획이나 결과의 투명성을 높이는 방안을 함께 강구해야 합니다.』박태규(朴泰圭)연세대교수는 15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연세대동서문제연구소와 한국공익재단연구회 공동주최로열린 제1회 공익재단심포지엄(주제:공익재단의 환경변화와 발전방향)에서 정부의 공익재단에 대한 정책방향에 대해 이같이 주장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 가장 초점이 된 부분은 우리나라의 공익재단은 어떻게 육성돼야 하느냐는 점이었다.
그러나 정부는 올부터 공익재단출연자산에 대한 면세혜택상한선을발행주식총액 또는 출자총액의 20%에서 5%로 대폭 낮추는 등이 부분의 규제를 강화한 것이 사실이다.
기업에 대한 부정적 국민여론과 「기업들이 공익재단을 재산도피수단으로 악용한다」는 지적이 맞물려 나온 산물로 보인다.소병희(蘇秉熹)포항공대 교수가 『비영리기관은 정부가 해야 할 서비스를 대신 맡고 있어 정부와는 상호보완적』이라고 말한 것도 같은맥락이다.
김남일(金南一)교육부법무담당관은 『공익재단 규제가 강화된 데는 나쁜 여론과 함께 공익재단주무부처가 교육.법무등 여러 곳으로 나눠져 있어 입장을 대변해 줄 부처가 제대로 없는 탓도 있다』며 『공익재단은 사회간접자본으로 볼 필요도 있 다』고 주장했다. 〈吳泳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