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2사태 돌출 政局경색-民自대응에 고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민자당이 국회로 넘어온「12.12」에 걸려 골치를 썩고 있다.전두환(全斗煥).노태우(盧泰愚)前대통령을 군사반란죄로 걸되 재판정에 세우지 않기로 한 검찰의 기소유예 결정을 물고 늘어지는 야당의 공세에 민자당은 마땅한 대응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
『기소유예를 번복해야 국회가 굴러갈 수 있다』는 민주당의 정상화 조건은 민자당 처지로는 도저히 들어줄 수 없는 것이다.때문에 민자당은 시간가기를 바라는 김빼기작전에 의존하고 있다.
익명을 부탁한 총무단의 한 의원은『정면으로 맞서 기소유예 쟁점을 더 키워주면 우리당이 여론에 밀린다』고 실토했다.국회 파행이 계속돼 여야가 함께 욕먹게 되면 야당의 공세도 누그러질 것으로 기대하는 정도다.
그러나 민자당이 정면대처를 못하는 것은 야당의 12.12공세에 국회의 주도권 장악차원을 넘는 고도의 노림수가 깔려 있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기소유예 결정을 공격하면서『반란으로 정권을 잡은 세력과 야합해 김영삼(金泳三)정권이 탄생했다』(蔡映錫의원.본회의질문)며 현 정권의 정통성.도덕성 문제를 부각시키고 있다.
민자당내 민주계 중진인 신상우(辛相佑.부산북을)정보위원장은『정통성 시비와 여권분열의 양면을 노린 것』이라고 했다.현정권출범의 도덕성 시비를 일으키고 5,6공(共)의 구여권(舊與圈)과현 집권세력간의 갈등을 부추기려는 의도라는 것이 다.이인제(李仁濟.안양만안)의원은『야당은 내년 지방선거때 이를 선거 전략으로 써먹으려 할 것』이라고 했다.
대통령 측근 출신의 또다른 당직자는『민주당은 12.12공세를통해 5,6共 세력의 재기 움직임을 막으려는 것처럼 나오지만 실은 민자당내부의 분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판단했다.
검찰판정에 반발했던 신군부 출신 허화평(許和平.포항)의원은 『야당이 현정권의 도덕성에 시비를 거는 것은 검찰의 군사반란 결정에 따른 부메랑적 공세』라고 했다.
민자당은 야당의 12.12 강공에는 김대중(金大中)亞太재단 이사장의 동교동측 입김이 작용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이한동(李漢東.연천-포천)총무는 『민주당이 왜 갑자기 강경으로 돌아섰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12.12와 같은 미묘한 문제로 터진 국회파행을 놓고 정면 대응책을 만들기 힘든 것이 민자당의 딜레마다.
〈朴普均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