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러지원국 문제 연내 의회 보고하면 해제는 내년으로 넘어가도 좋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북한이 테러지원국 해제가 내년 초로 넘어가도 양해할 수 있다는 뜻을 미국에 전했다고 워싱턴 외교 소식통이 18일 전했다.

이 소식통은 "북한 측이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에게 '미 행정부가 올해 안에 미 의회에 테러지원국 해제 보고를 하면 해제조치를 한 것으로 양해하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말했다.

미 행정부는 테러지원국을 해제하기에 앞서 최소한 45일 전 의회에 해제사유 보고를 해야 한다. 이에 따라 연말까지 43일 남은 19일 현재 북한의 테러지원국 해제가 연내에 실현되기는 불가능해져 북한의 반발이 우려돼 왔다. 북한이 연내에 핵시설 불능화와 핵프로그램 신고를 완료하면 미국은 연말까지 북한을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해제해 주기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북한이 "미 행정부의 의회 보고를 해제 조치로 양해한다"는 입장을 확인함으로써 다음달 미 행정부의 북한 테러지원국 해제 의회 보고→1월 중 테러지원국 해제 발효→그 직후 비핵화 협의 개시 순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다만 북한이 핵시설 불능화와 핵프로그램 신고를 합의에 맞게 이행해 나간다는 전제 하에서다.

이와 관련, 힐 차관보도 "북한의 테러지원국 해제가 해를 넘겨 내년 1월 중순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해 북한이 내년 초 테러지원국 해제를 양해했음을 간접 시사했다.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힐 차관보는 미 의회가 추수감사절 휴가를 마치고 개원하는 12월 3일부터 2, 3주 사이에 테러지원국 해제를 의회에 통보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앞서 송민순 외교통상부 장관도 8일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과 회담한 뒤 "북한의 핵시설 불능화 시점(올해 말 추정)과 테러지원국 해제 시점(내년 초 추정) 사이에 간격이 있을 수 있으며, 북한도 이를 양해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워싱턴=강찬호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