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인생기를살린다>8.자세.호흡.마음이 기공 3요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기공수련(氣功修練)을 한마디로 압축해 표현한다면 형식은「초감각(超感覺)훈련」이라 할 수 있고 내용은「氣와 의(意)의 단련」이라 부를 수 있다.그러나 수련방식에 있어서는「氣와 意」가 별개로 구분되지 않는다.
기공수련의 절대 삼요소인 조신(調身:자세의 조절)조식(調息:호흡의 조절)조심(調心:정신 또는 마음의 조절)을 통해 잠재된「정신과 육체를 총괄하는 생체 에너지」인 氣를 최대한 활용하려는 총체적인 노력이 곧 기공수련이다.
조신이란 우리가 현대문명속에서 살아가면서 알게 모르게 우리몸의 어떤 부위에 누적돼 비뚤어지고 구부러진 몸의 불균형을 바로잡아 올곧은 자세를 되찾음으로써 인체의 구조적 불균형때문에 원활하게 유통되지 못했던 기의 흐름을 원상복구시키는 일이다.
한걸음 더 나아가 기의 흐름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근육들을 비틀거나 관절을 회전시키는 갖가지 동작들을 연결한 것이 바로 태극기공(太極氣功)이니 학상장기공(鶴翔庄氣功)이니 하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들은 서양식 운동인 스트레칭이나 유연체조와 외형상거의 흡사한 경우도 많다.그러나 意가 수반된다는 점에서 차원이다르다. 다음은 조식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알려진 호흡의 조절이다. 단전호흡.복식(腹式)호흡.태식(胎息)호흡.지식(止息)호흡.순(順)호흡.역(逆)호흡등 갖가지 호흡법은 저마다 서로다른 방식으로 실시되지만 이들의 공통점은 결론적으로 얕은 호흡에서 깊은 호흡으로,빠른 호흡에서 느린 호흡으로 서서히 진 행해 완전히 정리된 심호흡(深呼吸)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있다.
그러나 처음에는 모든 정신을 집중해 의식적으로 호흡을 유도하지만 일정수준에 도달하면 호흡에 정신을 쏟지 않아도 저절로 심호흡상태가 된다.
마지막으로 의식의 조절이라고 설명하기도 하는 조심은 각종 감정의 증폭에 의해 편향되기 쉬운 마음을 고요하게 지켜 평정심을유지하도록 하는 한편 대뇌(大腦)가 입정상태(入靜狀態:생각에 현혹되지 않고 잡념을 배제한 순수한 무념무상의 경지에 진입하는것)에 머물 수 있도록 하는 훈련이다.
이처럼 의식을 단련하는 것을 연의(練意)라 하는데 연의를 통해서「대뇌의 보호적 억제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입정상태에 도달할 수 있다.
「대뇌의 보호적 억제상태」란 우리가 깨어있는 동안 주로 사용하는 대뇌 좌측부분(左腦)의 기능을 억제하면서 우측부분(右腦)을 보호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말하는데 과도하기 쉬운 교감신경계를 억제하면서 길항작용(拮抗作用)을 하는 부교감 신경계를 상대적으로 항진시켜 각자의 몸이 요구하는 균형상태를 만들어주는것을 말한다.
이에따라 중추신경계가「적극적인 휴식상태」에 들어가 각종 신경성질환의 예방.치료가 이뤄지고 인체내의 면역체계가 향상되면서 우리가 말하는 자연치유력이 월등하게 강화되는 것이다.
기공에 의한 치유물질생성의 근거,또는 치료과정에서 나타나는 가시적인 임상변화등을 서양의학적 관점에서 규명해내지 못하는 이유가 바로 이 총체적인 자연치유력에 의한 것이기 때문이라는 게기공연구가들의 주장이다.
우선 기공태(氣功態)라고 부르기도 하는 입정상태에 도달하면 참선(參禪)이나 명상(瞑想)에 몰입된 상태의 신체적 특성과 거의 일치하는 각종의 생리적현상이 나타난다.
산소소비량과 탄산가스배출량이 동시에 감소,호흡계수가 현저히 낮아지는가 하면 모세혈관이 확장되고 피부및 근육의 이완상태를 나타내는 GSR(갈바닉반응:약전류에 대한 피부전기저항 반응으로거짓말탐지기의 원리가 되기도 한다)가 최고 5백 %까지 증가하는등(수면중에는 최고 2백50%까지 증가)각종 기초에너지대사가현저하게 저하된다.
또 생물체의 노쇠화를 나타내는 지표인 엔트로피의 증가율도 뚜렷이 낮아지는 것이 입증되고 있어 기공태는 노쇠화를 둔화시키는상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다른 意의 단련은「자신의 의식을 어떤곳에 고정시키고 그곳으로부터 떠나는 일이 없이 마음의 눈으로 지켜 보는」의수(意守)다. 초보자에게 가장 어려운 것이 바로 이 意의 단련인데 확실한 효과를 위해서는 반드시 거쳐야만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기공이란 어떤 이름 어떤 형식을 갖고있건 간에 조신위주이든가(動功)또는 조식을 위주로 한다(淨功)는 차이가 있을 뿐 스스로 기공태에 도달하려는,그리고 그러한 초월적 정신상태를일정시간 유지하려는 노력이다.
〈金仁坤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