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를 살리자 ② May I have cola?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일부 어른들에게 영어는 두려움, 그 자체다. 십여 년간 영어를 배웠건만 외국인 앞에 서면 입이 얼어붙는다. 머리서만 단어가 맴돈다. 이런 두려움은 어디서 비롯됐을까? 자녀들에게 물려줘선 안된다. 부모와 자녀의 학습을 돕기 위해 영어 시리즈를 3회로 나눠 싣는다.
자료제공=장학어학원

우리가 흔히 콜라라고 부르는 음료를 미국에서 그대로 주문하면 현지 사람들은 알아듣지 못한다. 음료를 뜻하는 명사인 cola를 미국 현지 사람들은 잘 사용하지 않는다. coke또는 pepsi라는 상품명으로 직접 주문한다. 고유명사인 상표가 보통명사화된 경우다.
“May I have a glass of cola?” 물론 정확한 표현이지만 이렇게 말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May I have coke?” 또는 “I‘ll have pepsi”라고 말한다.

모든 언어는 단순히 의미를 전달하는 부호들의 모임이 아닌, 문화적 의미까지 내포된 복잡한 의사소통 도구다. 한 나라의 언어를 잘하려면 그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글로벌 사회에선 토론할 때 현지인의 말 또는 글로 그들을 설득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언어의 배경이 되는 문화적 이해가 없다면 그 언어 실력은 절름발이가 될 수 있다.

한국에선 ‘우리’라는 말을 쉽게 쓴다 있다. 한국의 전통적 가족중심적 문화에서 비롯된 표현이다. 하지만 영어로 표현되는 ‘우리’ 즉 we, our를 외국에서 그대로 사용하면 의사소통에 문제가 생긴다.

혼자 사는 유학생이 사는 곳이 어딘지 묻는 미국인에게 답할 때 “우리 집은 여기서 그리 멀지 않아”라고 말하는 것이 한국식 표현이다. 이를 영어로 그대로 옮기면 “Our house is not that far from here”이다. 이때 미국인은 두가지를 혼동한다. 첫째 ‘our’라고 했기 때문에 그 사람은 혼자 사는 것이 아닌 것이 된다. 누군가와 함께 사는 것이 될 수 있다. 또 house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단독주택의 의미가 될 수 있다. 만약 그 유학생이 혼자 조그만 아파트에 산다면 “My apartment (My place) is not that far from here”라고 해야 한다.
더 난감한 경우도 있다. 면허증을 안 가지고 운전하다 경찰 단속에 걸렸을 때, “I don’t have it” 이라 말하면 무면허로 오인받을 수 있다. “I don’t have it with me right now” (지금은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가 적합한 표현이다.

미국인들은 자신의 의사를 정확히 표현한다. 한국에서 흔히 어떤 제안(호의)을 거절 할 때 “괜찮습니다”라고 표현한다. 영어에서도 이 표현을 그대로 옮겨 “It‘s OK”라고 말하면 오해를 부를 수 있다. 미국인의 거절은 매몰찰 정도로 단호하다. “No, Thank you.” 명확히 ‘No’를 표시한다. 우회적으로 거절을 표현할 때도 “No, I’m fine”이라 한다.
한국인이 사용하기 힘들어하는 구문 중 ‘Do you mind~’가 있다. 단어가 이미 부정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 현지 문화를 이해하지 못하면 쉽게 습득하기 힘들다.

■“Do you mind if I give this to you couple of days later?” (제가 이 물건을 며칠 후 드려도 괜찮으시겠습니까?)
 / No, you can give it back to me later. (예, 괜찮습니다 며칠 후에 주십시오.)
 / Yes, I need it right now. (아니요, 지금 돌려 받았으면 합니다.)

문화적 차이에서 나타나는 언어 사용의 차이는 교과서만 공부해서는 효과적으로 익히기 힘들다. 직접 현지의 문화적 특성을 포함하는 다양한 매체를 읽고 들으며 익히는 게 중요하다.

정리=프리미엄 조한필 기자 chopi@joongang.co.kr

장학어학원
20년간 특목고 입시 명성을 쌓아온 장학학원이 잠실 재건축 단지에 설립한 초대형 영어 전문 어학원이다. 실용 표현영어 위주의 iBT형 영어 학습 프로그램을 초중고 학생들들에게 단계별로 제공한다. 02-420-7879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