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mily건강] 가을 우울증 막으려면 햇볕 쬐고 운동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5면

흔히 ‘봄은 여자의 계절, 가을은 남자의 계절’이라고 한다. 그러나 정신과 영역에선 정반대다. 가을에 찾아왔다가 봄이 되면 슬그머니 사라지는 계절성 우울증(SAD)이 여성에게 더 잦아서다. 계절성 우울증은 전체 우울증의 약 20%를 차지한다.

이 병은 일조량이 적은 고위도 지방에서 더 흔하다. 낮에 햇볕을 쬘 기회가 적은 교대 근무자에게 다발한다. 나이가 들면 이 병에 걸릴 위험은 점차 줄어든다. 55세가 넘은 환자는 거의 없다. 원인은 정확히 모른다. 일찍 해가 뜨고 낮이 길었던 여름 리듬에 익숙해져 있던 대뇌가 일조량이 적어지는 가을 리듬에 잘 적응하지 못한 탓으로 추정된다.

 한강성심병원 정신과 함병주 교수는 “증상은 기분이 우울해지기보다는 무기력해지면서 매사에 흥미를 잃는 것”이며 “많이 먹고(특히 단 음식) 많이 찌고 많이 잔다”고 설명했다.

 가을·겨울 시즌엔 해가 짧아지고 일조량이 감소한다. 평소처럼 눈을 떠도 밖은 아직 어둑어둑하다. ‘가을을 심하게 타는’ 사람에게 아침에 일어나 방 안의 불빛을 아주 밝게 하라고 권하는 것은 이래서다. 낮엔 커튼을 걷고 의자를 창문 쪽을 바라보도록 배치한다.

 계절성 우울증을 예방하려면 하루 30분 이상 햇볕을 쬔다. 유산소 운동을 규칙적으로 해서 생활리듬을 지킨다. 옥수수·콩 등 이노시톨이 풍부한 식품을 즐겨 먹는다. 인삼은 무기력증에서 벗어나는 데 도움이 된다. 자스민·라벤더 향을 맡거나 허브차를 마시는 것도 유익하다. 한방에선 라벤더향 아로마침(향기침)을 놓기도 한다.

 한방차로는 연자육차가 좋다. 경희대 한방병원 침구과 최도영 교수는 “연자육(연밥씨)은 심신을 안정시키고 오장을 편하게 해 주며 진정·강장 작용을 한다”고 말했다. 이 차를 만들어 보자. 연자 반컵을 흐르는 물에 씻어 건진 뒤 물기를 뺀다. 차 주전자나 냄비에 손질한 연자육과 물 3.5컵을 붓고 약한 불에서 충분히 달인다. 찻잔에 연자육차를 붓고 꿀 등을 곁들여 마신다.무기력한 증상이 2주 이상 나아지지 않으면 전문의를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료법은 크게 보아 두 가지다. 매일 일정한 시간에 강한 광선을 쬐거나(광선요법) 우울제 치료제를 복용(약물요법)한다.

박태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