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일류의현장>5.바텔기념연구소-초콜릿서 원폭까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 ★… ★… ★… ★… ★… ★… 「초콜릿부터 원자폭탄까지.」 바텔 기념연구소의 가장 큰 특징은 이 한줄로 요약된다.
초콜릿이든,원자폭탄이든 팔릴 수 있는 물건이라면 뭐든지 가리지않고 닥치는대로 만들어내는 잡식성(?)연구소가 바로 바텔이다.
91년 걸프전이 한창일 때 사막의 미군들에게 폭발적으로 인기를모았던 초콜릿이 있었다.「허쉬 초콜릿」이라는,우리에게도 낯익은이름의 이 초콜릿은 겉모양은 보통 초콜릿과 다를 바 없었다.그러나 보통 초콜릿이 수십초만 손에 쥐고 있었도 녹아 흘러내리는것과는 달리 이 「사막의 초콜릿」은 무려 섭씨 50도가 넘어도모양이 흐트러지지 않을 뿐더러 맛도 변함이 없었다.바텔의 아이디어와 기술력이 이 초콜릿을 녹지 않도록 한 것이다.
…★ …★ …★ …★ …★ …★ …★ 미국 정부는 2차대전이막바지에 이르던 40년대 중반 바텔에 극비의 연구를 맡긴 적이있었다.다름아닌 원자폭탄용 우라늄을 정련하고 분석하는 작업이었다.바텔은 이 임무를 훌륭히 완수해냈고,결국 미국은 이 원자폭탄으로 일본에 결정타를 먹일 수 있었다.원자폭탄 개발의 기술력을 인정받은 바텔은 50년대 초반 사설기관으로는 세계 최초로 원자력연구센터를 개설했다.
이외에도 열거하기 힘들만큼 많은 유수한 개발성과가 바텔로부터쏟아져 나왔다.상품의 이력서격인「바코드」며,오타를 수정하는「화이트」,「제록스」로 널리 알려진 복사기,자동차의「크루즈컨트롤」등 바텔이 세계 처음 개발에 성공한 상품들은 밤 새워 꼽아도 모자랄 정도로 많고도 다양하다.
바텔은 도대체 어떤 연구소길래 성격이 이렇듯 천양지차인 연구를 척척 성공시킬 수 있었는가.이 연구소 허프만박사(상용개발팀)의 말을 직접 들어보자.『바텔의 연구원들은 생존능력에서 타연구소의 어느 연구진보다 뛰어난 사람들입니다.적정한 연구비가 확보되지 않을 경우 언제라도 일을 그만둬야 하기 때문에 아주 치열한 자세로 연구에 몰두합니다.그러니 좋은 결과가 나올 수밖에요.』 母기업도,특별한 후원기관도 없는 바텔로서는 외부로부터 따내는 연구비가 연구소의 유일한 밥줄이다.연구소장 올슨 박사의말에 따르면 바텔의 연구원들은 연간 자기가 받는 연봉의 약 4배에 해당하는 연구비를 기업이나 국가로부터 따와야 한 다는 것이다. 다음번 연구과제는 현재 진행중인 연구과제가 끝나기 전에확보돼야 한다.차기 연구과제를 제대로 확보하지 못했을 경우 연구소측은 6개월의 유예기간을 준다.이러고도 연구과제를 따오지 못하면 그때는 보따리를 싸야하는 곳이 바텔이다.
바텔이 오늘날 상용화연구에서 가장 앞서가는 연구기관이 될 수있었던 것은 이같이 험난한 연구환경을 몸으로 극복해가면서 체득한 강인한 연구정신이 바탕이 됐다.바텔에서는 80년대 초반 정부로부터 약속받은 원자력관련 수억달러짜리 연구과 제가 의회에서관련법안이 통과되지 못하는 바람에 이 연구에 매달렸던 1백여명의 연구원이 하루아침에 실직한 일도 있었다.이외에 연구를 맡긴기업이나 국가기관이 이를 갑자기 취소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아 연구원들은 항상 긴장감 속에서 일 을 한다.
바텔의 연구원들은 이같은 연구분위기에 단련되면서 진짜 프로가된다.바텔에서는 학위나 학벌이 통하지 않는다.
이곳에서는 명함에 박사학위를 아예 박아넣지 않는 사람도 많다.바코드를 개발한 폴 앤드루나 지구위치정보시스템(GPS)을 개발한 아트 슐츠도 모두 박사학위를 갖지 않은 사람들이다.
바텔에서 학위는 승진이나 급여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때문에 박사라고 목에 힘주고 다닌다면 바텔에서 이만한 꼴불견도 없다.
이같이 오로지 실력만이 통하는 혹독한 분위기 탓인지 바텔에는한국인 과학자가 참 드물다.이곳에 근무하는 3명의 한국인중 한사람인 켄리박사(한국명 李揆元.환경과학)는『바텔에서는 학위는 물론 직위도 실상 큰 의미가 없다』고 말한다.
켄리박사는 이곳에서의 직위는 연구리더로 우리 기업으로 치면 부장급쯤 되지만 몇몇 연구에서는 자기 부하의 지시(?)를 받고있다.바텔에서는 보통 외부기관으로부터 연구과제를 따온 사람이 그 연구에 관련해 모든 책임을 지기 때문이다.이러 다 보니 연구과제별 책임자가 직위에 관계없이 직급상 위.아래 사람으로 마구 뒤섞여 있다.켄리박사는『부서 직원이 따온 연구과제에서 부서장이 쫄병노릇하는 것을 이상하게 보는 사람은 바텔내에 아무도 없다』고 자신있게 말한다.
「타임체크」가 엄격한 것도 바텔의 특징이다.그저 출퇴근 시간만 대충 적어내는 우리의 연구소와 바텔의 타임체크는 본질적으로다르다. 바텔의 연구원들은 16절지 한장으로 된 타임체크카드에분단위로 자기가 한 일을 세분해 상세히 적도록 돼있다.
예컨대「오전9시~10시45분:프로젝트 넘버2의 기본설계 검토,10시50분~12시:프로젝트 넘버3의 컴퓨터 시뮬레이션 연구,오후1시~1시30분:외부손님 ○○씨 접대…」라는 식으로 꼼꼼히 근무일지를 작성한다.이같은 타임체크는 상사가 별도로 체크한근무시간과 나중에 대조하게 돼있다.
바텔에서는「연구를 기막히게 잘하든지」,아니면「외부에서 연구거리를 잘 물어오는」 둘중의 한가지 재주라도 없으면 버티지 못한다고 한다.허프만박사는『많은 사람들이 정부가 바텔에 엄청난 돈을 대주고 있다고 생각한다.그러나 천만의 말씀이다 .우리는 정말 피터지는 경쟁을 통해 정부로부터 연구과제를 따오고 있다』고말한다.그는 80년대 중반 정부로부터 따낸 대형과제중에는 연구계획서 준비에만 1백만달러를 투입해 꼬박 1년이 걸려 완성한 것도 있었다고 밝혔다.바텔이 다른 연 구기관과의 연구과제 수주경쟁에서 높은 승률을 보이는 것은 계획서 작성에 남다른 정성을기울이기 때문이라고 그는 말했다.
바텔은 이같이 뛰어난 인적자원 외에도 효율적인 연구소 운영관리를 통해 경쟁력을 높이려 안간힘을 쓰고 있다.바텔은 지난해 이곳의「중앙실험연구설비실」의 운영을 한 외부 工作회사에 위탁했다.이와함께 20여명의 관계직원도 끼워 방출시켰다 .
밀링머신이나 레이저같은 연구설비의 외부 공개는 연구소의 수입을 늘리는데 지금 한몫을 하고 있다.
혹독하리만큼 빡빡한 연구분위기,철저한 시간관리,지나칠만큼 효율을 강조하는 연구소의 운영방침 등등….온갖 스트레스 덩어리로뭉쳐진 직장이 바텔같건만 연구원들은 바텔을 떠날줄 모른다.
또 바텔을 떠난 연구원들은 다시 돌아가고 싶다고 말한다.왜 그럴까.허프만 박사는『바텔은 연구원이 주인인 연구소』라는 말로대답을 대신한다.
바텔에서는 연구원이 일단 연구비를 획득하면 그가 그 돈을 어떻게 쓰는지 묻지 않는다.연구의 성공을 바라는 마음은 연구자나연구소가 다를 바 없기 때문이다.항목별로 세세히 용도를 지정하고 여기에 맞춰 연구비를 써야하는 우리 과학기술 계의 풍토와는큰 차이를 보이는 대목이다.
[콜럼버스(美오하이오州)=金昶曄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