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재앙 … 국제사회 뒤늦게 나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7면

반기문 총장이 5일 난민촌 아동에게서 꽃다발을 받고 있다. [AP=연합뉴스]

20만 명 이상의 인명 희생과 250만 명 이상의 피란민을 낳으면서 21세기 인류 재앙으로 불리는 수단 다르푸르 사태가 해결의 가닥을 조금씩 잡아가고 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올 1월 취임하면서 다르푸르 사태 해결을 최우선 과제로 삼으면서다.

이에 따라 이전까지는 소극적 자세로 일관하던 영국과 프랑스도 다르푸르 사태에 적극적인 입장으로 돌아섰다. 올해 취임한 영국 고든 브라운 총리와 프랑스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도 팔을 걷어붙이고 있다. 특히 사르코지는 올 6월 독일 하일리겐담에서 열렸던 G8(주요 7개국+러시아) 정상회담에서 적극적인 해결책을 들고 다른 지도자를 설득하기도 했다.

그 결과 7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2만6000명 규모의 '유엔-아프리카 연합 평화유지군'을 파병하기로 의결하게 된 것이다. 이들은 10월부터 현재 주둔 중인 AU 평화유지군을 대체할 예정이다.

동시에 수단 정부와 반군 그룹들 사이의 평화회담도 유엔의 중재로 본격화되고 있다. 다음달 27일 리비아에서 열릴 평화회담에 주요 반군단체가 참석할지가 사태 해결의 관건이다.

2003년 시작된 다르푸르 사태에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는 상당 기간 손을 놓고 있다 2005년에야 개입을 시작했다. 중앙정부와 남부 반군 사이의 평화 협정을 중재한 것이다. 하지만 상당수 부족이 평화협정을 무시하거나 회담 자체를 보이콧하면서 평화협정이 별반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2004년부터 다르푸르에 주둔한 7000여 명의 AU 평화유지군도 학살을 막기엔 역부족이었다. 그러다 유엔이 최우선 과제로 정하면서 비로소 국제사회가 개입의 정도를 높이기 시작한 것이다.

그럼에도 다르푸르의 평화 정착은 요원하다. 뉴욕 타임스는 최근 "아랍계와 비아랍계 부족의 갈등이 주였던 과거와는 달리 최근에는 같은 아랍계인 테르젬족과 마흐리아족 민병대 사이에 무력 분쟁이 격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다르푸르 사태가 더욱 복잡하게 꼬이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급속한 치안 악화로 국제기구의 인도주의적 지원마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라고 뉴욕 타임스는 지적했다.

최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