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수부존량 실태파악 시급 소비자문제연구 시민모임 토론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8면

광천수(생수)시판허가로 마구잡이 광천수개발에 의한 환경파괴와수자원 고갈을 막기위해 전국의 지하수 자원부존량에 대한 실태파악이 시급하다.
현재 한국의 광천수 수질기준중에는 선진국 식용수질 기준보다 미흡한 부분이 있어 이를 강화해야 하며 수돗물의 식수포기도 있을수 없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는「소비자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소시모)」이「식수 안전대책 어떻게 할것인가」를 주제로 관계전문가를 초청해 최근 개최한 토론회에서 제기됐다.
이날 소시모의 부회장 宋寶炅교수(서울여대)는「수돗물및 광천음료수에 대한 소비자 의식조사결과」라는 발제를 보고했다.
이에 따르면 수돗물 불신으로 서울의 주부 1천명중 30%가 생수를 이용중인 것으로 응답하고 있을 정도로 생수이용인구가 급증했다는 것.
宋교수는 또『생수시판에 대한 앞으로의 우려점으로 응답자들중 60%가「무분별한 지하수개발에 의한 환경파괴」,35%가「정부의수돗물 무관심유발」을 들었다』고 말했다.
이에대해 亞洲大 鄭潤鎭교수(환경공학)와 경실련의 兪在賢박사(도시계획학)는『지하수에 관한 현행법이 토지소유권만 있으면 어느곳이나 마음대로 지하수를 끌어올릴수 있어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때문에 광천수생산을 이유로 산림을 마구잡이로 파헤치고 경쟁적으로 지하수를 끌어올리다 보면 짧은 기간내 지하수 자원고갈이오리라는 것.따라서 전국의 지하수 분포및 부존량에 대한 실태파악과 광천음료수의 생산을 규제할 수 있는 관계법 령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소시모의 姜光波이사는『광천수질기준이 선진국의 식용수질기준보다1.2~33배나 느슨하게 설정돼 있는 다이아지논.말라티온.파라티온.페니트로치온등의 유해물질 기준치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한국수도연구소장 金元滿씨(漢陽大명예교수)는『생수시판 허가와 함께 행여 정부의 수돗물 안전식수화 정책추진이 미약해질 우려가 있다면 이는 시민이 직접 감시자로 나서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金소장은『수돗물오염의 주범인 수질오염행위 는 주요 상수원지의 경우 3~5㎞마다 상설감시원을 배치하는등의 감시제도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李起俊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