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구-각종 통신 수십만회선 통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2면

통신구(通信溝)는 일반전화.무선전화.무선호출기는 물론 전화국간의 중계회선,TV.라디오 송출선등 각종 통신케이블이 지나가는곳으로 지하 5m가량의 깊이에 위치한 가로 3.5m,세로 2.
2m 규모의 콘크리트 박스.
통신구는 양쪽 벽면에 철제 선반인 케이블 지지철물이 5층으로설치돼 있으며 이 선반위에 케이블 가닥이 놓여져 있다.
사고가 난 통신구에는 한 組(회선묶음)에 3천~4천회선을 수용하는 65조의 구리회선과 14조의 光케이블이 깔려있다.구리회선중 18조는 일반전화용으로,47조는 전화국간 중계회선으로 사용돼왔으나 중계회선이 마비되면서 전화국간 통신시설 연결이 두절돼 피해가 확대됐다.
또 14조가 설치된 광케이블은 일반전화를 제외한 무선전화.무선호출기.경찰경비전화등의 전용회선과 팩시밀리 회선등을 수용하고있어 통신 전반의 마비가 초래됐다.
광케이블은 전기신호를 이용하는 기존의 구리선과는 달리 빛을 신호로 사용하는 첨단통신선으로 국내에서는 80년대 중반부터 상업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해 현재 전체 통신회선중 반가량이 광케이블로 설치돼있다.광케이블은 정보처리량이 엄청나고 잡음.간섭등이없어 꿈의 통신선으로 평가받지만 열에 약한 단점이 있다.
이때문에 미국.일본.프랑스등에서는 내화성(耐火性)특수피막을 입혀 화재시 케이블의 손상과 케이블이 타면서 발생하는 독성가스의 피해를 막고있다.그러나 국내에서는 주요 광통신선들이 내연처리가 되지않아 피해가 컸던 것으로 지적된다.
화재가 난 통신구는 74년 지하철 1호선 개통과 함께 설치됐으며 케이블도이때 대부분 매설돼 상당부분이 노후된 상태다.
특히 화재가 난 통신구에는 화재경보장치.화재 차단보호문등 안전장치가 전혀 설치돼 있지 않고 통풍구 근처에 소화기만이 설치돼있다.따라서 한곳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통신구가 환기통 역할을 해 불길이 계속 번질 수밖에 없고 케이블 피 복에서 발생하는 유독가스 때문에 화재진압및 복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金東鎬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