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민간환경단체 지원 형식에 그쳐-지원육성 절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光州=李海錫기자]효율적인 환경관리를 위해 시민참여를 유도,민.관이 합동으로 하는 환경감시체제구축이 절실함에도 불구하고 민간환경단체에 대한 광주시의 예산보조등 지원이 형식에 그치고 있다. 광주시에 따르면 지난 한햇동안 민간환경운동단체에 지원한예산은▲광록회 7백만원▲시민생활환경회의 4백50만원▲광주.전남환경운동연합 3백만원등으로 각 단체 연간 운영.사업비의 5~10%에 지나지 않는다.
또 올해의 지원계획도 사회단체보조금 3억9천6백만원중 3.7%인 1천5백만원을 3개 단체에 각각 5백만원씩 보조해준다는 게 고작이다.
이때문에 각 단체들은 해마다 다양한 환경보전활동계획을 세워놓고도 돈이 없어 제대로 시행치 못하는등 재정난으로 활동에 큰 제약을 받고 있다.
광록회의 경우 지난해 연초 1억5천여만원 규모의 사업계획을 수립했다 8천여만원의 사업밖에 못했는데 이중 시의 지원은 동복댐 수질보전을 위해 상류지역 논에 벼대신 심은 청정미나리를 5백만원어치 사주고 세미나비용 2백만원을 대준 것에 그쳤다.
광주.전남환경운동연합의 林洛平사무국장(38)은『환경운동이 관(官)중심보다는 민간중심으로 이뤄져야 효과를 거둘 수 있음에도아직도 많은 공무원들은 민간환경단체를 껄끄러운 존재로 보고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며『민간 환경단체에 대한 인 식전환과 적극적인 지원육성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