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권력승계 구체논의-21차 북노동당 전원회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2면

북한의 실질적 최고 권력기관인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6기 21차 전원회의가 금명간 열릴 것으로 알려져 주목을 끌고 있다.
이번 전원회의에서는 권력의 핵심인 노동당과 정무원의 인사등 큰폭의 권력개편이 예상되는데다,특히 延亨默총리의 교체를 가져온작년 12월초의 20차회의에 이어 1년만에 핵문제의 막바지 고비에서 열리기 때문이다.
이같은 시기 때문에 이번 회의에서는▲핵문제와 관련한 내부입장정리▲金正日의 권력승계문제▲노동당및 정무원 인사개편▲올해로 끝나는 제3차 7개년 경제계획 결산등 굵직한 현안도 함께 다뤄질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먼저 핵문제와 관련해선 내부의 최종적인 정책조율이 예상된다.
지난 3월12일 핵확산금지조약(NPT)탈퇴선언이후의 美-북한회담및 남북대화등을 총점검하면서 앞으로의 핵정책을 결정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전원회의는 경제정책 외에는 공표하지 않아온 점으로 비춰볼때 핵문제 대책은 결정을 하더라도 대외적으로 발표하지 않고앞으로 남한및 미국.IAEA와의 협상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핵정책과 관련,국면전환을 위한 중앙위 전원회의 결정문을 채택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정보소식통들은 핵문제의 일괄타결을 강조한 11일의 姜錫柱 북한 외교부 제1부부장의 담화등으로 미뤄 북한이 NPT탈퇴,미국및 IAEA와의 대화단절 선언등 파국쪽으로 결정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권력승계와 관련해선 金正日이 黨총비서 또는 黨중앙군사위원장에취임할 것인지가 관심이다.
당규약 24조는 중앙위 전원회의는 당총비서와 당중앙위 군사위원등을 뽑을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어 당대회를 소집하지 않고도전원회의가 金日成이 갖고 있는 당총비서나 당중앙군사위원장의 代물림을 결정할수 있다.
북한방송이 최근 金正日이 74년 2월의 당중앙위 제5기 8차전원회의에서 후계자로 추대됐다며 그의 지도자론을 공론화하고 있는 것은 이와 관련해 주목되는 부분이다.
지난 7,8일 開城市黨 전원회의에 이어 11일 군부 핵심인 인민무력부 연구토론회에서 金正日 후계체제와 관련한 대책을 논의했다고 북한방송이「이례적으로」밝힌 점도 같은 맥락이다.
이같은 분위기는 金正日의 권력승계가 이번 회의에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내년초 소집될 당대회등을 통해 이루어질 가능성을 점치게 해주고 있다.
노동당 사업총괄비서인 金正日은 91년말 군최고사령관,올 4월국방위원장에 취임한 만큼 그가 黨총비서나 黨중앙군사위원장에 취임할 경우 권력승계가 마무리됨을 의미한다.
정무원.노동당 고위급 인사는 전원회의가 해마다 다뤄온 문제로이번에도 대폭 인사가 될 가능성이 높다.
북한은 이미 당 교육담당비서인 尹基福을 중앙인민위산하 경제정책위원장에,朴南基 당경제담당비서를 평양시 행정위원장에 임명함으로써 대폭인사 조짐을 보여왔다.
여기에 李奉吉 黨검열위원장이 얼마전 사망했고 金日成의 동생인金英柱의 잦은 등장,핵문제처리와 관련해 현 외교팀과 작년 전원회의에서 중용된 개방파에 대한 평가도 엇갈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인사폭이 클 것으로 분석된다.
외교팀에 대해선 현재 진전이 없는 핵문제,姜成山총리.金達玄부총리겸 국가계획위원장등으로 대표되는 개방파에 대해선 외국투자 유치와 경제개발 성과를 金日成이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에 교체여부가 달려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번 인사에선 큰폭의 세대교체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또 이번 회의는 올해로 끝나는 제3차 7개년 경제계획을 결산할 것으로 보인다.
내년부터 4차 7개년계획에 들어갈지,예전처럼 일정기간의 연장기간을 둘지는 미지수다.
〈兪英九.吳榮煥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