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칼럼] '고구려史' 대응책 세우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5면

중국의 동북공정 프로젝트가 알려지면서 온 나라가 떠들썩하다. 현재의 주요 관심은 북한과 중국의 고구려 유적에 대한 세계문화유산 등재 여부를 최종 심사하게 되는 '제28차 세계유산위원회' 총회에 쏠리고 있다. 올 6월에 개최될 총회의 심사 결과는 고구려 역사가 어느 나라에 귀속되느냐를 가늠하는 중요한 척도가 될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북한의 등재 신청이 통과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정작 중요한 문제는 고구려 역사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와 이에 근거한 국제적인 홍보다. 고구려 유물의 등재 여부를 떠나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을 학술적으로 반박할 수 있는 근거와 논리를 찾고, 이를 세계 각국에 홍보하는 포괄적인 준비가 시급하다. 이 준비는 단순히 고구려 역사에 국한되는 작은 규모가 아니라 고대사와 민족의 정체성을 포함하는 대규모 프로젝트가 돼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중대한 시점에서 우리의 준비는 어떠한가. 정부 각 부처들은 흩어져서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는데, 이러한 느슨한 네트워크 체제로는 역사 침략을 방어해낼 수 없다. 정부는 청와대 또는 총리실 산하에 특별대책기구를 만들어야 한다. 그리하여 외교통상부.교육인적자원부.국정홍보처.문화관광부 등 각 부처의 담당자들이 이 문제를 전담,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학계에서도 하루 빨리 동북공정 프로젝트의 연구 성과물을 수집.분석하고 모순점을 찾아 학술적으로 반박해야 하며, 정확한 사료에 근거해 우리의 역사를 정립해야 한다. 시민단체에서도 대승적 견지에서 보다 큰틀을 만들어 공동 대응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역사의 존망은 미래를 준비하는 자에게 달려 있다. 우리가 차분하고 치밀하게 준비할 때 과거의 역사는 우리의 미래로 투영될 것이다.

문성근 흥사단 사무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