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센터 24.5% 자격자 없이 정비|4대도시 139개 업소·운전자 304명 조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4면

1·2급 자동차 정비공장이 크게 부족한 가운데 카센터·카인테리어·배터리점등「5종 고물상」으로 허가를 받고 영업하는 경정비업소들이 전국에 약3만 곳이나 난립, 정비부실로 소비자들에게 사고위험에 대한 불안감을 안겨주고 있다.
이들 경정비업소는 또 인도·차도·골목길 등 통행로나 공용주차공간을 작업장소나 정비차량 주차장소 등으로 활용하고 있어 통행·차량소통 때 큰 불편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
이 같은 사실은 한국소비자보호원(원장 김인호)이 서울등 4대도시 지역 경정비업소 1백39곳과 자가운전자 3백 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밝혀졌다. 92년 말 현재1·2급 자동차 정비공장은1천4백여 곳에 불과, 한 공장이 맡아야 할 자동차대수는 3천6백68대 꼴(89년 1곳에 2천5백73대 꼴)로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이를 틈타 고물상 허가를 받은 경정비업소들이 업소 당 평균 1.1명의 자격증소지자를 두고 부실한 정비를 일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사대상 업소 중 24.5%는 자격증소지자를 전혀 확보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이용자의 39.1%가 정비차량의 안전성에 불안을 느끼고 있으며 60.9%는 경정비업소의 과다한 정비요금 청구와 불량부품·용품 사용 등으로 골탕먹고있다고 응답했다.
5종 고물상은 5종에 속하는 자동차 부속품·오토바이 등 고물의 교환·매매업무만 할 수 있고 부득이 정비할 경우에는「자동차사용자 및 운전자가 할 수 있는 작업 한계」안에서만 가능하나 대부분 이를 어기고 있다는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